보령시, 2025 지방자치콘텐츠대상 기초지자체 부문 교육·청년 분야 대상 수상
보령시는 27일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5 지방자치 콘텐츠 대상’에서 기초지자체 부문 교육·청년 분야 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지방자치TV,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한국지방자치학회, 인문콘텐츠학회가 공동 주관하고 행정안전부 및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등이 후원하는 이번 행사는 ‘AI로 여는 지방시대, 지역 성장이 ...
▲ 사진=픽사베이최근 휴대전화 화면에 실제 가족의 전화번호가 뜨도록 기기를 조작해 돈을 요구하는 보이스피싱 사례가 늘고 있어 경찰이 주의를 당부했다.
경찰이 오늘(5일) 공개한 신종 전기통신금융사기(보이스피싱) 사례에는 피해자가 범인으로부터 전화를 받을 때 엄마와 딸 등 가족의 휴대전화 번호가 화면에 나오게 하는 수법이 포함됐다.
경찰은 "휴대전화 번호 뒷부분 몇 개 자리가 일치하면, 국제전화 등의 다른 번호라도 평소 저장해 놓은 대상자라고 화면에 나타나는 점을 악용한 범죄"라고 설명했다.
보이스피싱범들은 통상 국제전화나 인터넷 전화로 범행을 저지르는데, 이때 010을 제외한 휴대전화의 8자리만 알면, 마치 그 기기로 전화를 건 것처럼 조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010-abcd-abcd'가 휴대전화에 '엄마' 번호로 저장돼 있는 경우, 전혀 다른 국제번호인 '001-82-0001-0010-abcd-abcd'로 전화가 걸려와도, 뒷부분 8자리 'abcd-abcd'가 같기 때문에 휴대전화 액정에는 저장된 '엄마' 이름이 뜬다는 것이다.
범인들은 피해자의 개인 정보와 가족 관계 등을 미리 파악한 뒤, 가족의 휴대전화를 빼앗아 연락한 것처럼 조작하는 수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가족을 위협하겠다고 협박하기 때문에 쉽게 속을 수 있다"라고 주의를 당부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평소에 개인정보를 잘 관리해야 하며, 범죄조직들이 문자메시지(SMS)를 정교하게 조작하는 만큼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인터넷주소(URL)는 철저하게 확인하고 될 수 있는 대로 누르지 말아 달라"고 전했다.
이어 "피해 예방의 가장 좋은 방법은 가족·친척·친구에게 이러한 정보를 한번씩 공유하는 것이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