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민간소비와 투자가 둔화되며 3분기(7∼9월) 우리나라 경제가 0.3% 성장하는 데 그쳤다. 한국은행이 예상한 올해 4% 성장률 달성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2021년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3분기 실질 GDP는 전분기 대비 0.3% 증가했다.
코로나19로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였던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하면 4.0% 성장했지만, 올해 1분기와 2분기 각 1.7%, 0.8% 성장했던 점에서 볼 때 성장률이 크게 둔화된 것이다. 또 시장 전망치인 0.4~0.6% 보다도 낮다.
지난 8월 한은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4.0%로 유지했고, 9월 2분기 GDP 성장률 잠정치를 발표하면서 3분기와 4분기에 각 0.6%(전분기대비) 정도 증가하면 올해 4.0% 성장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일단 3분기 성장률(0.3%)은 0.6%의 절반에 그친 것이다.
3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서비스(음식숙박, 오락문화 등)를 중심으로 0.3% 감소했다.
설비투자도 운송장비(자동차 등) 위축의 영향으로 2.3% 줄었고, 건설투자 역시 토목건설 위주로 3.0% 뒷걸음쳤다.
이처럼 소비와 투자가 부진한 가운데, 정부소비는 물건비 지출 등에 힘입어 1.1% 증가했다.
수출은 석탄·석유제품, 기계·장비 등을 중심으로 1.5% 증가했지만, 수입은 운송장비(자동차 등) 등이 줄면서 0.6% 감소했다.
3분기 성장률에 대한 민간소비, 건설투자, 설비투자의 기여도는 각 -0.1%포인트, -0.4%포인트, -0.2%포인트로 분석됐다. 그만큼 소비와 투자가 3분기 성장률을 끌어내렸다는 뜻이다.
반대로 순수출과 정부 지출은 성장률을 각 0.8%포인트, 0.2%포인트 높였다.
업종별 성장률은 ▲ 농림어업 8.8% ▲ 제조업 0.2% ▲ 전기가스수도업 0.8% ▲ 서비스업 0.4% ▲ 건설업 -1.7% 등이었다. 특히 서비스업 가운데 운수업은 2.2%나 줄었다.
실질 국내총소득(GDI) 증가율은 교역 조건이 2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면서 실질 GDP 성장률(0.3%)과 같은 0.3%로 집계됐다.
황상필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3분기 0.3% 성장한 것은 코로나19 재확산으로 민간소비가 감소하고 차량용 반도체 공급차질, 건설자재 수급 불균형 등 글로벌 공급 병목에 따른 것"이라며 "크게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3분기 경제성장률은 지난 8월 조사국 전망과 크게 벗어나지 않는 모습"이라며 "산술적으로 4분기 성장률이 전기대비 1.04%를 상회하면 연간 4% 성장률 달성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황 국장은 "글로벌 공급차질과 중국 경제 불확실성 증대, 에너지 가격 상승 등은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하겠지만 백신접종 확대, 방역정책 전환, 2차 추경 효과 등이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우리 경제의 회복세가 이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