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시리아 알샤라 대통령에 “아내 몇 명?” 농담…백악관 회담 현장 영상 공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 백악관에서 알샤라 시리아 대통령에게 “아내가 몇 명이냐”는 농담을 던졌다.농담과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고가 향수를 알샤라 대통령에게 직접 뿌리며 선물하라고 했다.알샤라 대통령은 손가락으로 ‘1’을 나타내며 어색한 미소를 지었다.현장 분위기는 농담 직후 일시적으로 가라앉았다고 영...
울산북부경찰서, 보이스피싱 피해 막은 은행원에 112신고 포상금 수여
[뉴스21일간=김태인 ]울산북부경찰서는보이스피싱 범죄를 사전 차단하여 현금 7천만원 피해를 막은 은행원 박소영씨(과장대리)에게 감사장과 112신고 상금을 수여했다고 13일 밝혔다. 농소농협 본점에 근무하는 해당 은행원은 지난 10월 30일 고객이 적금을 해지하고 다른 계좌로 자금을 이체하려고 하여 자금의 용도를 확인하던 중 원격제어 ...
▲ [이미지 = 픽사베이]미국 제약회사 머크앤드컴퍼니가 식품의약국(FDA)에 긴급 사용 승인을 신청한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백신과 마찬가지로 저개발국이 보급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 세트당 82만원이라는 비싼 가격 탓이다.
미국 CNN방송은 16일(현지시간) 머크가 개발하고 있는 먹는 치료제 몰누피라비르(Molnupiravir)를 두고 이런 우려를 전했다.
전문가들은 항바이러스제인 몰누피라비르는 코로나19 사태를 해결할 '게임 체인저'로 기대했다. 그러나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사태 초기 저소득 국가들이 백신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던 것 처럼 몰누피라비르도 같은 전처를 밟게 될 것이라 우려했다.
가장 큰 이유는 가격이다. 실질적으로 최초의 코로나 치료제가 될 가능성이 큰 머크의 가격 책정 정책과 이를 구하기 위한 선진국들의 치열한 경쟁으로 높은 가격이 형성됐다.
미국은 몰누피라비르가 승인될 경우 170만 세트를 사기 위해 12억 달러(약 1조4천억원)를 쓰기로 했다. 계산하면 한 세트당 82만원에 달한다.
당연히 빈곤국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는 부담스러운 가격일 수밖에 없다.
CNN은 전문가들의 원가 분석을 인용해 몰누피라비르 1세트의 비용이 18달러(약 2만원)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다만 몰누피라비르를 개발한 머크는 지난 6월 공문을 통해 나라마다 차등 가격제를 사용할 계획이며 104개 중소득 국가를 위해 복제약 생산 면허 계약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하지만 국경없는의사회의 리나 멘가니 남아시아 의약품접근캠페인 대표는 머크가 특허와 가격, 공급을 통제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 그는 특허 면제를 요청한 상태다.
미 소외질환신약개발재단(DNDI) 상무이사인 레이철 코언은 "역사가 되풀이되도록 해선 안 된다"며 "같은 패턴에 빠져 백신을 두고 저지른 실수를 반복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코언 이사는 보건 수단은 공공재로 취급해야 한다며 "이번 사태가 치료와 관련 국수주의로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영국의 과학분석업체 에어피니티에 따르면 현재 10개 국가가 머크와 몰누피라비르 구매 계약을 체결하거나 계약을 위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이 중 8개 국가가 한국, 호주, 뉴질랜드 등 아시아 태평양 국가다.
CNN은 상대적으로 백신 도입이 늦었던 아시아 국가들이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먹는 치료제 확보에 서두르고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