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방부가 문재인 대통령이 유엔 총회 연설에서 한반도 종전 선언을 제안한 것과 관련해 한반도 종전 선언 논의에 열려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존 커비 국방부 대변인은 22일(현지시간) 정례 브리핑에서 "우리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계속해서 북한과의 관여를 모색하고 있고, 종전선언 가능성에 대한 논의에 열려있다"고 말했다.
커비 대변인은 "미국은 여전히 북한과의 대화·외교를 통한 한반도의 영속적 평화 달성에 전념한다"라며 "우리의 목표는 항상 그랬듯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우리는 이 문제가 복잡하다는 점을 알고 있다"라며 "이런 종류의 대화를 진전시키기 위해 우리 외교관들의 역할을 지원한다"라고 했다. 그는 "우리의 목표는 늘 그랬듯 한반도 비핵화 완수"라고 강조했다.
국무부 대변인은 미국과 동맹국, 그리고 배치된 군대의 안보를 증진시키는 가시적인 진전을 이루기 위해서 조율되고 실용적인 접근법의 일환으로 북한과의 관여를 지속적으로 모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는 북한에 대한 어떠한 적대적인 의도도 없으며, 전제 조건 없이 만날 준비가 돼 있다"며 "우리는 북한이 우리의 활동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기를 희망한다"고 힘줘 말했다.
이어 "우리는 북한과 어떻게 가장 잘 관여할 것인지에 대해서 한국, 일본 등 동맹국 및 협력국과 지속적으로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21일 미 뉴욕 유엔 본부에서 열린 제76차 유엔 총회 기조연설에서 한반도 종전 선언을 위한 국제 사회의 결집을 촉구하고 남·북·미 또는 남·북·미·중 전쟁 종료 선언을 제안한 바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번 유엔 총회 연설에서 "한반도 비핵화 완수를 위해 진지하게 일관된 외교를 추구한다"라며 한반도 안정성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진전을 이루겠다는 의지를 밝혔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