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시, 2025 지방자치콘텐츠대상 기초지자체 부문 교육·청년 분야 대상 수상
보령시는 27일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5 지방자치 콘텐츠 대상’에서 기초지자체 부문 교육·청년 분야 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지방자치TV,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한국지방자치학회, 인문콘텐츠학회가 공동 주관하고 행정안전부 및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등이 후원하는 이번 행사는 ‘AI로 여는 지방시대, 지역 성장이 ...
▲ [이미지 = 픽사베이]기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보다 치명률이 더 높은 '람다형' 변이가 전 세계 31개국에서 확인되며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권준욱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제2부본부장은 16일 오후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브리핑을 열고 "람다 변이의 발생 규모와 추세는 시시각각 변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권 제2부본부장은 "WHO(세계보건기구)에 보고된 상황을 보면 전 세계적으로 31개국에서 확인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라며 주로 남아메리카 지역에서 람다 변이의 우세종화가 관찰된다"고 전했다.
이어 "페루 전체 발생의 81%가 람다 변이로 나타나고 있고 아르헨티나가 약 37%"라며 "람다 변이는 2020년 10월 페루에서 처음 발견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람다 변이의 백신 효능에 대해서는 지금 분석이나 평가가 진행 중에 있는데, 현재로서는 델타 변이 수준으로 람다 변이에도 백신의 방어 효과가 감소한 정도로 일부 조사 결과는 나타나고 있다"라고 말했다.
권 제2부본부장은 "아직 WHO를 비롯해 람다 변이가 주요 변이가 아닌 기타 변이로 분류되는 상황"이라며 "람다 변이의 전파력에 대해 분석이 더 이뤄져야 한다"라고 전했다.
한편 국내에서는 아직 람다형 변이 확진자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