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합동특별수사본부(특수본)는 신도시 부동산 투기 의혹 제보를 위한 신고센터가 운영을 시작한 지 하루 만에 180여건의 제보가 접수됐다고 17일 밝혔다.
17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국수본)에 따르면 지난 15일 오전 9시 문을 연 신고센터에는 전날인 16일 오후 9시 기준 182건의 제보가 접수됐다. 15일에만 90건이 제보됐고 16일에는 92건이 추가로 접수됐다.
신고 내용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과 중앙·지방정부 공무원, 시도의원 등의 투기 의혹으로, 대상과 내용이 다양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수본 관계자는 "내용을 검토해 수사 필요성을 따져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수본은 또 투기 의심자로 분류된 LH 직원들을 조만간 소환 조사할 방침이다. 특수본 관계자는 "현재 수사 의뢰된 내용과 압수물을 분석하고 있다"면서 "분석 작업이 마무리되는 대로 LH 직원들을 소환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정부 합동조사단은 국토교통부와 LH 직원 1만4,000여명을 전수 조사해 지난 11일 투기 의심 사례로 확인된 LH 직원 20명에 대한 수사를 특수본에 의뢰했다. 이 중 16명은 경기남부청, 2명은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중대범죄수사과, 1명은 경기북부청, 1명은 전북청의 내사·수사를 받고 있다.
3기 신도시 지역을 관할해 가장 많은 사건을 배당받은 경기남부청은 지난 9일 경남 진주 LH본사와 수도권 LH사업본부 등을 압수수색한 이후 압수물 분석에 총력을 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기남부청은 압수수색으로 확보한 LH 직원의 휴대전화 등 모바일기기 18대의 1차 포렌식 분석을 진행했다. 이후 18대 중 7대는 기술적인 이유로 국수본에 넘겨 포렌식을 진행하고 있다.
특수본은 휴대전화 통화 내용과 카카오톡·문자 메시지 등을 분석하면 LH 직원들이 비공개 내부 정보를 이용해 투기했다는 단서를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일부 언론은 이날 압수된 휴대전화의 상당수에서 통화와 문자메시지 기록 등이 삭제 됐다고 보도했지만, 특수본 관계자는 "사실과 다르다. 정상적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