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한미 연합지휘소훈련(21-1 CCPT)에 강하게 반발했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에 대해서도 경고성 첫 입장을 내놨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16일 당 기관지 노동신문에 게재한 '3년 전의 봄날은 다시 돌아오기 어려울 것이다'라는 제목의 담화를 통해 "남조선 당국이 8일부터 우리 공화국을 겨냥한 침략적인 전쟁 연습을 강행하는 길에 들어섰다는 소식을 들었다"면서 비난했다.
김 부부장은 "이번 연습이 연례적이고 방어적이며 실기동이 없이 컴퓨터 모의방식의 지휘소 훈련이라고 광고해대는데, 우리는 지금까지 합동군사연습 자체를 반대했지 연습의 규모나 형식에 대해 논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며 "우리의 정정당당한 요구와 온 겨레의 한결같은 항의규탄에도 불구하고 차례(려)질 후과를 감당할 자신이 있어서인지 감히 엄중한 도전장을 간도 크게 내민 것"이라고 규정했다.
이어 "우리는 남조선 당국의 태도 여하에 따라 3년 전 봄날과 같은 평화와 번영의 새 출발점으로 돌아갈 수도 있다는 입장을 천명했다"며 "이것이 해마다 3월과 8월이면 되살아나는 남쪽 동네의 히스테리적인 전쟁연습 광기를 염두에 둔 것이며 북남(남북)관계의 마지막 기회로 될 수 있다는 의미심장한 경고였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남조선 당국이 앞으로 상전(미국)의 지시대로 무엇을 어떻게 하든지 그처럼 바라는 3년 전의 따뜻한 봄날은 다시 돌아오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대남 대화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를 정리하고, 금강산국제관광국 등 교류협력 기구를 없애버리는 문제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남한을 향해 원색적인 비난을 가하기도 했다. 그는 "정치난, 경제난, 대유행 전염병난에 허덕이는 형편에 하나 마나 한 전쟁연습 놀음에 매달리면서까지 동족에 대한 적대행위에 부득부득 명운을 거는 남조선 당국의 처지가 가련하기 그지없다"며 "우리에 대한 비정상적인 적대감과 불신으로부터 출발한 피해망상이 극도에 달한 모양"이라고 말했다.
이어 남한이 연습 중단을 약속하고도 2018년부터 크고 작은 '전쟁연습'을 "도적고양이처럼 벌여놓은 데 대하여 우리는 알고 있은 지 오래며 때가 되면 낱낱이 계산하려고 하였다"며 "앞뒤가 다르게 이런 식으로 북침전쟁 연습에 계속 열을 올리다가는 북남(남북)관계가 앞으로 어떻게 될 수 있다는 것을 남조선 당국은 그 누구보다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병적으로 체질화된 남조선 당국의 동족대결 의식과 적대행위가 이제는 치료불능 상태에 도달했으며 이런 상대와 마주 앉아 그 무엇을 왈가왈부할 것이 없다는 것이 우리가 다시금 확증하게 된 결론"이라며 "전쟁연습과 대화, 적대와 협력은 절대로 양립할 수 없다"라고 강조했다.
김 여정은 이에 따라 "현 정세에서 더 이상 존재할 이유가 없어진 대남 대화 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를 정리하는 문제를 일정에 올려놓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라고 밝혔다.
또 "우리를 적으로 대하는 남조선 당국과는 앞으로 그 어떤 협력이나 교류도 필요 없으므로 금강산국제관광국을 비롯한 관련 기구들도 없애버리는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며 "우리는 앞으로 남조선 당국의 태도와 행동을 주시할 것이며 감히 더더욱 도발적으로 나온다면 북남 군사분야합의서도 시원스럽게 파기해버리는 특단의 대책까지 예견하고 있다"라고 경고했다.
김 부부장은 "행동에는 언제나 결과가 따르는 법"이라며 "명백한 것은 이번의 엄중한 도전으로 임기 말기에 들어선 남조선 당국의 앞길이 무척 고통스럽고 편안치 못하게 될 것이라는 것"이라고 말해 사실상 문재인 대통령을 겨냥한 비난까지 냈다. 그는 "대가는 노력한 것만큼, 지불한 것만큼 받게 되어 있다"라고 덧붙였다.
김 부부장은 이번 담화에서 그동안 침묵했던 미국의 조 바이든 새 행정부에 대해서도 비난의 날을 세웠다. 사실상 첫 공식 입장을 밝힌 셈이다. 특히 이는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의 방한을 하루 앞두고 나온 것으로, 북한이 의도적으로 일정을 계산한 것으로 보인다.
김 부부장은 "이 기회에 우리는 대양건너에서 우리 땅에 화약내를 풍기고 싶어 몸살을 앓고 있는 미국의 새 행정부에도 한마디 충고한다"며 "앞으로 4년간 발편잠(편한 잠)을 자고 싶은 것이 소원이라면 시작부터 멋없이 잠 설칠 일거리를 만들지 않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