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지난 2월 중순 이후 여러 채널을 통해 북한과 접촉을 시도했지만, 아직까지 이렇다할 답변을 받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13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은 미 정부 고위 관리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익명을 요구한 미 정부 고위 관리는 “지난 2월 중순부터 시작해서 뉴욕을 포함해 여러 채널을 통해” 북한 정권에 접촉하려는 시도들이 있었다"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 1월20일 출범한 바이든 정부가 지난달부터 뉴욕에 있는 유엔주재 북한대표부를 비롯해 다양한 경로를 통해 북한 쪽과 접촉하려 노력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관리는 "현재까지 평양으로부터 어떠한 반응도 받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유엔주재 북한대표부는 아무런 언급도 즉시 내놓지 않았다고 통신은 전했다.
이 관리는 또 트럼프 행정부 말기를 포함해 지난 1년 이상 동안 북-미 사이에 대화가 진행되지 않았던 걸로 보인다고 전했다. 그는 “그 시기(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 말기)에 미국이 (북한과) 관여를 해보려는 여러 번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양쪽의 대화가 없던 것 같다고 했다.
바이든 정부는 북한에 대해 구체적인 언급을 자제한 채 대북 정책 전반을 검토하고 있다.
성 김 국무무 동아태 차관보 대행은 지난 12일 기자 브리핑에서 “아마 수주 안에 검토를 끝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의 15~18일 한국, 일본 방문 또한 대북 정책 검토의 주요 과정이 될 것이라고 미 정부는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