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 = 연합뉴스TV 캡처]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 13명이 광명·시흥 등 3기 신도시의 토지를 내부 정보를 이용해 먼저 사들인 정황이 포착되며 논란이 일파만파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3기 신도시 전체에 대한 전수 조사를 벌여 진상을 파악한다는 방침이다.
3일 국토교통부와 LH에 따르면 정부는 광명 시흥 외에 다른 3기 신도시에서도 LH 직원의 땅 투기가 있는지 전수조사에 착수하기로 했다. 조사 대상에는 국토부 직원도 포함된다.
앞서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는 LH 직원이 14명이 광명 시흥에서 100억원대 토지를 매입했다고 폭로했다. 시민단체는 14명 중 12명이 현직이고 2명은 퇴직했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폭로에 논란이 번지자 국토부는 LH를 상대로 조사를 진행했고, 그 결과 광명 시흥지구에서 13명의 LH 직원이 땅을 산 것으로 잠정 파악된 것으로 전해졌다.
투기 의혹을 받는 직원 상당수는 서울·경기지역 본부 소속으로 보상 업무를 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현재 이들 중 12명은 직무에서 배제됐다.
국토부는 이들이 내부 정보를 이용해 땅 투기에 나섰는지에 대한 조사를 벌이고 있다.
광명 시흥은 수년 전부터 신도시 유력 후보지로 거론됐지만 정부가 내부적으로 본격적으로 후보지로 염두에 두고 검토를 벌인 것은 올해 초부터다.
연루된 직원들은 대부분 작년 초까지 광명 시흥 부지를 매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내부 정보 이용 여부를 떠나 신도시 토지 확보와 보상 등 업무를 하는 LH 내부 직원들이 신도시 후보지 땅에 투자했다는 사실만으로도 큰 도덕적 해이가 발생했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업무 연관성 등을 검토해서 위법한 행위를 한 것으로 드러난 LH 직원에 대해선 경찰에 수사의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