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단 소액결제 사태를 일으킨 KT가 모든 이용자를 대상으로 유심칩 무료 교체에 돌입
소형 기지국 해킹 사태 두 달여 만에 KT가 일반 이용자에 대한 무료 유심 교체를 시작했다.이용자 불안 해소를 위해 해킹 피해자에서 모든 이용자로 대상을 넓힌 것이다.온라인과 전화로 교체 예약을 하면 된다.대체로 차분한 모습이었지만, 일부 이용자들은 하루 앞서 교체를 위해 매장을 찾기도 했다.'유심 대란'을 방지하기 위해 지역별...

대전시는 미세먼지 고농도 시기인 12월부터 3월까지 시민의 건강보호를 위해 평상시보다 강화된 대응조치를 추진하는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를 시행한다고 29일 밝혔다.
계절관리제 기간(12월~3월)에는 대기정체 등 기상여건, 국외유입, 국내배출의 복합적 영향으로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하며, 지난 3년 간 초미세먼지 농도는 연평균 대비 약 27%가 높았다.
대전시는 계절관리제 기간 중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5개 부문 17개 과제를 집중 추진한다.
시민건강 보호 부문은 취약계층 이용시설 점검, 다중이용시설 점검, 저소득층 및 옥외작업자 마스크 보급,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 지원사업, 환경관련 기관‧단체 간 자발적 협약을 통한 미세먼지 저감 등을 추진한다.
아울러,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에는 초미세먼지 재난에 대한 적극 대응을 위해 위기관리 체계를 가동한다.
초미세먼지 고농도 발생 시 비상저감조치를 발령하고 배출가스 5등급 차량 운행제한, 사업장, 공사장의 조업시간 단축·조정 등을 실시한다.
대전시 임묵 환경녹지국장은 “미세먼지 고농도시기에 시민의 건강보호를 위해 미세먼지 저감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비상저감조치 발령 시 5등급 차량 소유자와 사업장 및 공사장 관계자의 많은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시는 전년도 계절관리제를 시행한 바, 정책효과, 국외 영향, 코로나19로 인한 사회‧경제적 활동 감소 및 기상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초미세먼지 평균농도가 전년 동기대비 32% 감소(34㎍/㎥ → 23㎍/㎥), 나쁨일수도 41일에서 15일로 크게 개선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