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단 소액결제 사태를 일으킨 KT가 모든 이용자를 대상으로 유심칩 무료 교체에 돌입
소형 기지국 해킹 사태 두 달여 만에 KT가 일반 이용자에 대한 무료 유심 교체를 시작했다.이용자 불안 해소를 위해 해킹 피해자에서 모든 이용자로 대상을 넓힌 것이다.온라인과 전화로 교체 예약을 하면 된다.대체로 차분한 모습이었지만, 일부 이용자들은 하루 앞서 교체를 위해 매장을 찾기도 했다.'유심 대란'을 방지하기 위해 지역별...

대전시립박물관이 오는 27일부터 내년 2월 21일까지 선사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대전발굴유물 특별전‘신비의 거울, 고려동경’ 특별전을 개막한다.
이번 전시는 문화재 발굴조사 이후 국가 귀속된 유물을 시민에게 처음 공개하는 것으로, 그동안 도굴품으로 출토지역을 모르던 고려시대 거울과는 달리, 대전지역 출토지가 명확한 유물들이 전시돼 가치가 높다.
특별전은 고려시대 생활상을 살필 수 있도록 총3개 파트로 나뉘는데, 파트1에는 ‘대전에서 발굴 조사된 고려동경’, 파트2에는 ‘토광묘와 동반유물’, 파트3에는 ‘동경의 상징성’으로 구분해 모두 27점이 전시된다.
주요 전시 유물은 ‘호주(湖州)’라는 글씨를 새긴 수입 거울, 연못 유적에서 출토된 ‘상서로운 동물을 새긴 거울’, ‘옴마니반메움’이라는 불교 범어를 새긴 거울’등 대전 고려시대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추정할 수 있는 유물 등이다.
고려 거울의 정확한 출토지는 대전 가오동 ㆍ 가정동 ㆍ 상대동 원골 연못 ㆍ 상대동 중동골 양촌 유적 등으로 거울과 함께 출토된 고려 청자 ㆍ 청동대접 ㆍ 은제뒤꽂이 등 동반 유물도 함께 전시할 예정이다.
전시 유물들은 대전에서 살던 고려인들이 실생활에서 사용했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어 정확한 연대와 출토지역을 증명하는 중요한 자료다.
아울러 고려 동경을 모티브로 제작한 현대 미디어 아트 작품도 선보인다.
대전에서 10년 동안 활약하고 있는 노상희 청년작가의 작품으로 현대미술과 고미술의 환상적인 콜라보를 즐길 수 있다.
이밖에 어린이가 쉽게 보고 즐길 수 있는 어린이 체험지와 함께‘내가 꾸미는 거울 만들기 체험’등 다채로운 체험 프로그램도 마련된다.
선사박물관 관계자는 “이번 전시는 대전에서 살던 고려시대 사람들이 용모를 꾸미기 위해 사용하던 거울을 중심으로, 어떤 상징성이 있고, 실제로는 어떻게 사용했는지를 직접 볼 수 있어 교육적 효과가 높다”며 “특히, 대전 도안동 아파트 개발 이전, 고려시대 연못에서 출토된 거울은 개인과 마을의 풍요를 기원한 것으로 우리 지역 역사성을 느끼기에 더 없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