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유류 저장 용량이 100만t에서 150만t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이는 북한이 1년 혹은 그 이상 경제를 운영하기엔 충분한 양이라는 평가다.
북한 전문매체인 미국의소리(VOA)에 따르면 미국의 노틸러스연구소가 북한이 최대 150만t의 정제유 등 유류를 저장할 수 있는 시설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했다.
이 연구소는 최근 발행한 ‘북한의 유류 저장 능력 추정’이란 제목의 보고서에서, 위성사진 분석과 미 중앙정보국(CIA)이 과거 북한의 지하·지상 유류 시설에 관해 발간한 자료 등을 증거로 제시했다.
보고서는 위성사진 분석을 기반으로 활성화 된 것으로 추정되는 북한 내 유류 저장소의 용량이 약 110만 입방미터(m3)에 달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는 북한이 90만t에서 100만t의 유류를 저장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다만 이 수치는 과거 CIA가 1982년에 발간한 보고서에서 지목한 유류 저장시설 중 위성사진 등을 통해 존재와 활성화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없었던 지하시설 등은 제외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따라서 CIA에 의해 보고됐었지만 직접 확인 불가능한 50만 입방미터 용량의 저장시설까지 합치면, 북한의 유류 저장 용량이 약 160만 입방미터에 근접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는 북한이 최대 150만t의 원유와 정제유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유류 저장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150만t은 북한이 자체적으로 한 해 동안 국내에서 생산하는 정제유 양과 최근 몇 년 간의 정제유 수입량을 합친 추정치에 상응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또 북한의 유류 저장용량은 최근 북한의 정제유(oil products) 소비량의 1년치 이상에 해당하는 양이지만 2년 치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보고서의 저자인 노틸러스연구소의 데이비드 폰 히펠 연구원은 위성사진만으로는 정확한 추정이 불가능하다면서, 다만 보고서는 저장시설에 원유가 완전히 혹은 비슷한 수준으로 채워져 있다면 수개월, 1년 혹은 그 이상으로 북한 경제를 운영하기에 충분한 양이라는 점을 명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