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 문제에 흥미를 잃었다는 외신보도가 나왔다.
CNN은 미국 10일(현지시간)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자신의 최고위 외교정책 참모들에게 "11월 3일 실시될 미국 대통령 선거 전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북·미 정상회담을 갖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CNN은 지난해 27∼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 정상회담의 결렬 이후 대북 외교가 허우적댔으며, 트럼프 대통령 역시 재선 캠페인에 집중하면서 북핵 이슈에 관여하려는 욕구가 시들해졌다고 전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5일 스웨덴 스톡홀르멩서 열린 북미 실무협상 결렬 이후 좌절감도 표시했다고 밝혔다. 당시 미국 협상대표들은 북한이 “미국이 빈손으로 왔기 때문에 협상이 결렬됐다”고 선언하기 전까지는 진전을 이룰 수 있다고 믿었다고 CNN은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고위 당국자 중 한 명은 당시 협상이 “죽었다”고 직설적으로 묘사하기도 했다. 이 당국자는 미국 정부가 북한 여행을 위한 ‘특별여건 허가증’ 발급을 완전히 중단했다고 덧붙였다.
CNN은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운동 캠프에서 일하는 인사들은 북한 문제가 트럼프 대통령이 올해 대선에서 승리하는데 결정적인 이슈가 될 것이라고 믿지 않는다고 보도했다. 지난 4일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연설에서 북한을 언급하지 않은 것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의 합의를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가 별로 없다는 증거라고 해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협상 재개로 얻어질 잠재적 이득보다 그 위험이 월등하게 높다는 판단했으며, 때문에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대한 공개적인 언급을 줄이고 있다고 CNN은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북·미 대화에 대한 무관심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행정부 당국자들은 북·미 대화에서 나설 준비가 돼 있다는 스탠스를 계속 취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미 의회에서도 트럼프 행정부가 대북 정책 접근법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공유하지 않는데 대한 우려가 급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반도에 근무하는 미국 외교관들은 트럼프 행정부에 다음 조치에 대한 지침을 알려줄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트럼프 행정부는 이에 대해 명확한 답을 주지 않고 있다고 CNN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