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시리아 알샤라 대통령에 “아내 몇 명?” 농담…백악관 회담 현장 영상 공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 백악관에서 알샤라 시리아 대통령에게 “아내가 몇 명이냐”는 농담을 던졌다.농담과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고가 향수를 알샤라 대통령에게 직접 뿌리며 선물하라고 했다.알샤라 대통령은 손가락으로 ‘1’을 나타내며 어색한 미소를 지었다.현장 분위기는 농담 직후 일시적으로 가라앉았다고 영...
▲ (사진=제주자치도청)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원장 송승운)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 동안 도내 키위 재배지 360개소에 대해 토양 물리․화학성, 수량, 비료 사용량을 조사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도내 키위재배 토양의 물빠짐, 자갈함량, 토양깊이 등 성질에 따라 키위재배 적합 여부를 판단해 최적지, 적지, 가능지, 저위생산지로 나눠 양분관리 기술 보급을 위해 추진하였다.
키위 재배에 알맞은 토양 조건은 물 빠짐이 좋고 식양질 또는 미사식양질, 유효토심은 100cm 이상이면서 자갈함량이 10% 미만으로 평탄한 곳이 가장 알맞은 곳이다.
기후 조건으로는 연평균 기온은 13~14℃이며 생육적온 12~15℃, 1월 최저기온은 영하 9℃ 이상이다.
농촌진흥청에서는 키위 재배 적지 선정기준을 지형, 토성, 배수등급, 유효토심, 자갈함량, 경사 등 6개 토양특성을 적용해 설정하고 있다.
도내 토양 특성에 따른 키위재배 최적지 비율은 33.7%, 적지 15.9%, 가능지 12.3%, 저위생산지 38.1%로 나타났다.
제주지역은 온난한 기후와 토양이 부드러운 화산회토양 등 자연적으로 토양물리성이 양호해 키위재배 적지로 알려져 있으나 저위생산지에 많이 재배하고 있었으며
키위 재배지 360개소 중 46개소를 대상으로 토양의 물리적 특성이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최적지의 평균 수량은 3,528kg/10a로 저위생산지 2,915kg/10a 보다 21% 많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또한 질소비료 사용량은 최적지 25.0kg/10a로 저위생산지 28.0kg/10a 보다 11%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연구과 강호준 박사는 ‘키위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재배 적지 선정이 가장 중요하며 생산성이 낮은 농지는 새 흙넣기 등 토양 물리성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면서 ‘앞으로 키위과원을 개원할 때는 적지에 재배될 수 있도록 기술지원을 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