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하천 함께 가꿔요” …중구, ‘1사 1하천 살리기’ 합동 정화활동 실시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울산 중구(구청장 김영길)가 11월 13일 오후 3시 척과천변에서 ‘2025년 하반기 1사 1하천 살리기’ 합동 정화활동을 실시했다. 이번 행사에는 김영길 중구청장과 박경흠 중구의회 의장, 지역 내 기업·공공기관·단체 14개 관계자 등 300여 명이 함께했다.이날 참석자들은 하천 주변에 버려진 쓰레기를 수거하고 생태...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과 김진모 전 민정2비서관이 국정원 불법 자금 수수 혐의로 17일 구속됐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최측근들이 줄줄이 구속되면서 국정원 뇌물 수사의 킬닐이 ‘윗선’에 닿을 계기가 마련됐다.
서울중앙지법은 지난 16일 이명박 정부 시절 국정원 특수 활동비를 받은 혐의를 받고 있는 이들에 대해 “죄를 범했다고 의심할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고 증거인멸의 염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앞서 원세훈 전 원장의 공작비 유용 의혹을 조사하던 검찰은 국정원 돈이 청와대로 건너간 정황을 포착해 이 전 대통령의 측근들을 조준하고 나섰다.
국정원 직원이 청와대 인근에서 김 전 기획관에게 현금 2억 원이 든 가방을 두 번에 걸쳐 전달했다고 진술한데다, 대부분의 의혹을 부인하던 원 전 원장 역시 특수활동비를 건넨 혐의를 시인하며 수사가 급물살을 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 전 대통령측은 ‘특수활동비를 받은 적이 없다’고 장외 여론전을 벌이며 대응했지만 측근의 구속을 막지는 못했다.
검찰은 이들을 상대로 돈을 받게 된 경위와 사용처, 윗선의 개입 여부를 캐물을 방침이다.
특히 이 전 대통령이 국정원 관계자로부터 ‘돈을 전달하다 사고가 날 수 있다’는 보고를 직접 받았고, 돈 일부가 ‘민간인 사찰의혹’ 폭로자의 입을 막는데 쓰였다는 의혹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사가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대통령의 묵인 아래 정권의 비위를 감추는데 국정원 돈이 사용된 혐의가 확인될 경우 이 전 대통령 역시 검찰 수사를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지난 12일 김 전 기획관과 김 전 비서관, 김희중 전 대통령 제1부속실장 등의 자택,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하면서 이 전 대통령 재임 당시 국정원이 청와대 인사들에게 뇌물을 건넸다는 의혹에 대한 수사를 본격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