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유튜브 채널 ‘이낙연의 사유’ 개설… “한국 민주주의가 무너지고 있다” 직격
문재인 정부 국무총리를 지낸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이 유튜브 채널 **‘이낙연의 사유’**를 개설했다.기존 ‘이낙연 TV’ 외에 새 채널을 통해 정치 현안에 대해 직접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이 고문은 “인생·사회·국가·세계의 미래를 함께 공부하고 사유하겠다”고 취지를 밝혔다.그는 일주일에 1~2회 콘텐츠를 올리며 온라인·...
울주군보건소, 영양플러스 사업 대상자 부모 심폐소생술 교육
(뉴스21일간/최원영기자)=울주군보건소가 11일 영양플러스 사업 대상자 부모를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했다.이번 교육은 응급상황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처하고 예방 조치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외부 전문 강사를 초청해 가정 내 안전사고 예방법, 하임리히법 및 심폐소생술 등 이론 교육과 실습 교육...

마포구(구청장 박홍섭)가 지역 주민들이 편하게 모여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관내 개방공간 정보를 담은 지도를 내놨다. 구는 일정시간 사용하지 않는 유휴공간을 주민이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2017년 마포구 공간공유 안내지도’를 제작·배부한다고 밝혔다.
보다 많은 주민들이 유휴공간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가까운 공간자원 공유를 통한 지역 네트워크 구축으로 지역공동체의 토대를 마련하려는 취지다. 특히 공공시설 이외에 지역 내 민간 자원시설도 전수 조사 뒤 공간을 공유함으로써 주민편의를 더했다.
구는 주민센터 내의 유휴공간 등 일정시간대 빈 공간으로 남는 공공시설을 온라인 예약시스템을 통해 지역 주민들에게 개방해 왔다. 16개 동 자치회관·청소년문화센터 등 53개소를 확대 개방해 운영했으며, 다양한 주민 소모임을 활성화하고 주민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공간공유 안내지도는 2014년에 이어 두 번째로 제작됐다. 올해는 주민센터의 이전으로 인한 내용 미수정을 보완하고, 마포중앙도서관 등 개방 시설을 추가했다.
마포구의 공공시설과 기타 유휴공간 개방 현황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책자형 리플릿으로 1천부가 제작됐으며, 주민들이 목적에 맞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마포구청을 비롯한 18개 공공기관의 50개 공간의 이미지와 수용인원, 전화번호, 주소, 면적, 대관 신청 방법 등을 상세하게 수록해 놓았다.
또한, 마포지역 자원조사집 ‘마포 이웃사촌’에 수록된 공간자원을 토대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32개의 기타시설 유휴공간 개방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에는 새민족교회, 새롬교회, 우리교회, 공덕감리교회와 같은 종교시설도 포함되어 빈 공간을 나눠쓰는 공유문화 확산과 주민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공동체 문화가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마포구 전체 지도에 유휴공간 개방시설 위치를 공공시설과 기타 유휴공간으로 구분하여 알기 쉽게 표기했으며,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시스템(http://yeyak.seoul.go.kr)을 통해 장소를 빌릴 수 있다. 장소를 선택하고 이용시간을 예약하면 해당기관에서 대관 여부를 알려준다. 민간시설은 전화로 신청 가능하다.
한편 구는 자원을 함께 사용하는 생활 속 공유문화의 확산을 위해 다양한 시책을 발굴·추진한 점이 높게 평가돼 ‘2017 공공자원 공유활성화 분야 시·구 공동협력사업 평가’에서 우수구로 뽑혔으며 2600만원의 인센티브를 지원받았다.
공공시설 유휴공간 개방을 통한 주민편익을 증진시키기 위해 16개 동 자치회관, 공동육아방, 청소년문화센터 등 53개소를 확대 개방해 운영했으며, 총 8556회의 이용실적을 기록했다. 이들 유휴공간 중 45개소는 주말·야간시간대도 개방해 주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해 지난해 36개소보다 14%상승(73%→87%)의 성과를 거둔 셈이다.
이밖에도 구는 ▲우리동네 생활공구 대여소 ▲공동주택 나눔카 활성화 ▲공유교육 라이브러리 ▲한지붕 세대공감 사업 ▲삼개나루 공유센터 등의 사업을 벌이고 있다.
구는 주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16개 동주민센터와 도서관, 관내 초·중·고등학교 등에 지도를 비치하고, 아울러 구 홈페이지(www.mapo.go.kr)에 PDF 파일로 업로드하여 누구나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게 하여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공간공유 안내지도’와 관련하여 기타 자세한 사항은 마포구 자치행정과 ☎02)3153-8315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박홍섭 마포구청장은은 “각종 회의, 동아리 활동 등 주민 모임공간이 필요할 때 비용이 저렴한 가까운 동주민센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주민 홍보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공간 나눔 지도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유휴공간 개방시설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