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시장 권선택)는 치매국가책임제 시행에 따라 5개 자치구(보건소)에 '치매안심센터'를 설치한다고 밝혔다.
치매안심센터 설치는 치매예방, 조기검진 및 치료, 재활까지 진행 단계별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치매통합관리시스템을 갖추기 위한 사업이다.
자치구(보건소)에 설치하는 치매안심센터는 총사업비 50억 원 중 설치비 43억 원, 운영비 7억 원을 투입하여 리모델링이나 증축 등을 통해 센터별 500~650㎡의 별도 공간을 확보하고, 사무실, 교육·상담실, 검진실, 프로그램 운영실(쉼터) 등의 시설을 갖추어 내년 상반기까지 설치·운영에 들어갈 계획이다.
운영비는 센터당 연간 14억3000만원~17억5000만원(국비80%, 시비10%, 구비10%)이 지원될 예정이다.
치매안심센터는 개소 당 25~30여명의 의사, 간호사, 임상심리사, 사회복지사 등 전문인력을 충원하여 운영하게 되는데, 상담·교육·협력팀, 조기검진팀, 등록관리팀, 쉼터지원팀의 조직을 갖추게 된다.
김동선 시 보건복지국장은 “센터마다 25~30여명의 의사와 간호사, 임상관리사, 사회복지사 등 전문인력이 충원돼 운영된다”면서 “전담 코디네이터에 의한 1대 1 매칭으로 치매확진 전 단계부터 초기상담, 치매조기검진, 1대 1 사례관리, 치매단기쉼터 및 치매까페 운영 등 필요한 서비스와 연계, 체계적으로 관리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김동선 대전시 보건복지여성국장은 “노인인구 증가와 더불어 치매환자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심각한 현실을 감안, 치매국가책임제 일환으로 추진되는 국정사업인 만큼 보건복지부·5개 자치구와 협력하여 차질 없이 치매안심센터가 설치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전 내 치매환자 수는 등록 인원을 기준으로 2014년 6106명, 2015년 6904명, 지난해 상반기에만 6921명에 달하는 등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