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재영 대전대학교 토목공학교수
큰빗이끼벌레 대량 분포하는 곳에서 물고기 거의 보이질 않아 문제 심각
금강은 4대강 사업이후에 연속적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2012년 10월 30만 마리이상(충남 조사단 추정)의 물고기가 집단적으로 폐사하는 일이 생기더니, 올해는 큰빗이끼벌레라는 도저히 친근해질 것 같지 않은 모양의 태형(苔形)동물(Bryozoa)이 대량으로 출현하는 일도 생겼다.
자료에 의하면 큰빗이끼벌레의 원산지는 북미이고, 1900년에 독일의 함부르크에서 발견되었는데, 미국으로부터 함부르크항으로 들어오는 선박의 담수탱크를 청소하는 과정에 유입되어서 유럽으로 들어오게 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1973년에 처음 보고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1998년 전주 우석대 서지은교수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98년 당시의 조사에서는 조사대상 다목적댐 중에서 가두리 양식장이 없는 주암호에서는 큰빗이끼벌레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소양호, 충주호, 대청호, 옥정호에서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금강수계에서 발견된 큰빗이끼벌레는 1994년과 2001년, 2004년의 봄과 여름철 갈수기에 대청호와 충북 옥천의 보청천의 보 상류 지역에서 많이 발견되었다.
공주보에서 6월 18일경 올해 들어 처음 발견된 큰빗이끼벌레는 6월 26일 영산강 광주 구간에서 발견되었고, 이어서 7월 6일에는 낙동강 강정보령보와 창녕함안보에서도 잇따라 발견되었다.
큰빗이끼벌레의 대량 증식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다. 수질이 좋은 팔당호에서도 발견되므로 수질이 나빠서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는 주장도 있고, 인체에 유해하지 않으므로 호들갑스럽게 떠들어댈 문제가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한편으로는, 4대강 사업에 의해 생태환경이 악화된 것이 원인이라는 주장도 있고, 큰빗이끼벌레가 사멸하는 단계에서 수질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충남도는 금강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백제보 물고기 집단폐사의 경우에도, 큰빗이끼벌레의 경우에도 항상 정부기관보다 한발 빠르게 조사에 착수하였다. 충남의 적극적이고 책임감있는 대응에 격려를 보낸다.
큰빗이끼벌레는 흐름이 느린 정체수역에서, 그리고 수온 20℃∼25℃의 범위에서 주로 서식하며, 수온이 16℃이하로 내려가면 서식하지 않는다는 것이 지금까지 알려진 객관적인 사실이다.
그러므로, 4대강 사업이후에 보를 설치한 지역의 상류에서 주로 대량으로 번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 보로 인하여 흐름이 느려진 곳에서는 흐름이 원활한 곳보다는 수온이 높아서 이들이 서식하기에 좋은 환경으로 된다는 것 등이 이러한 객관적 사실과 부합한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실험실내에서 실시된 제한된 규모의 조사이긴 하지만 수조내에서 큰빗이끼벌레는 비교적 대량으로 물속의 용존산소를 소모한다는 실험결과가 있다. 큰빗이끼벌레가 대량으로 분포하고 있는 곳에서는 물고기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는 잠수부의 증언도 있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지나치게 맑은 물에는 고기가 살지 않는다’라는 말이 있다. 지나치게 맑은 물에는 먹이가 없는 것처럼, 사람 사이에는 얼마간의 여유로움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때로는 이 말을 왜곡하여 부정한 사람이 그 부정한 행위를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자연과학에서는 다르다. 지나치게 맑은 물은 실험실에서 증류수의 형태로만 가능하고, 실제의 자연상태의 물은 증류수의 수준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하천이 스스로 조절(자연상태의 유기물 공급, 자정작용 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적절한 조절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물이 맑기만 하면 물고기는 잘 살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하천에 흐르는 물이 아주 맑아지도록(조절가능한 범위를 넘지 않도록) 노력하는 선량한 관리자로서의 의무가 우리에게 부과되어 있음을 자각하는 일에 게으르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