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실현가능성 의문"
나로호 1차 발사를 석 달여 앞둔 2009년 5월 28일.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한국형 발사체 개발 전략' 심포지엄이 열렸다. 이 자리에서 박정주 당시 항우연 발사체계사업단장은 "2010년부터 한국형 발사체(로켓)를 개발해 2018년 우리 자력으로 쏘아 올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한국형 발사체는 길이 45m, 중량 200t급으로, 1.5t급 실용위성을 실어나르게 된다. 100㎏짜리 과학위성을 쏘아 올리는 2단 로켓 나로호보다 추진력을 2배가량 높인 3단형 로켓 방식이다. 이 한국형 로켓을 위한 예산은 1조5500억원 규모. 나로호 개발 예산의 3배다.
그러나 나로호발사가 2번 연속 실패하면서, 국회는 관련 예산을 대폭 삭감했다. 발사 목표 시점은 2018년에서 2021년으로 3년이 늦춰졌다.
'누가 만들 것이냐'는 점. 정부 계산에 따르면, 한국형 발사체 개발을 위해 필요한 전문인력은 총 1000명 규모다. 현재 항우연 등이 보유한 발사체 관련 전문인력은 채 400명이 안 된다. 김창경 교과부 2차관(과학담당)은 지난해 11월 9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답변에서 "항우연 자체 역량으로는 한국형 발사체를 할 수 없다는 것이 교과부의 판단"이라고 말했다.
개발인력 1000명을 채우려면 600명이 추가로 필요하다. 교과부는 산업체와 대학 인력을 최대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항우연이 발사체 개발의 거의 모든 과정을 독점해온 구조에서 국내의 기업과 대학 등 민간에는 이렇다 할 전문인력이 없는 상황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