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지역 농가소득이 1년새 10% 이상 증가하면서 18년만에 전국 평균을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농·어가 경제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남 농가의 지난해 가구당 평균소득은 3천42만원으로 2010년 2천763만원보다 10.1% 상승했다.
이는 1993년 이후 처음으로 전국 농가 평균소득을 앞지른 것이다.
전국적으로 농산물 수입 확대, 소 가격 하락, 사료비 증가 등의 요인으로 전국 농가 평균소득이 6.1% 감소한 가운데 전남은 두자릿수 증가한 것으로 매년 최하위(9위)를 달리던 전남의 농가소득은 제주(3천637만원), 경남(3천320만원), 경기(3천312만원), 강원(3천286만원)에 이어 4계단 오른 5위를 기록했다.
전남의 농가소득 향상은 쌀값 상승에다 전남도가 지난 2004년부터 친환경농업을 골자로 역점 추진해온 생명식품산업 육성정책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실제로 전남은 2004년부터 친환경 농가와 인증면적 확대에 힘을 기울여 4천60호에 불과했던 농가수가 지난해 8만101호로 급증했다. 친환경 인증면적도 4천57㏊에서 8만7천831㏊로 전국 인증면적의 51%를 차지할 정도로 크게 늘었다. 특히 무농약 이상은 전국 인증면적 대비 61%를 차지하는 등 친환경농업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지난해 친환경 무농약 재배 벼의 단위면적(10a)당 소득은 77만1천원으로 일반재배 소득 59만8천원보다 28.9% 높았고, 특히 유기농 재배는 78만원으로 일반재배보다 30.4% 높아 전남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했다.
지난해말 1억원 이상 고소득 농가에 대한 전남도 자체 조사에서도 전체 2천753호 중 친환경 농업을 실천한 농가가 942호로 34%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전남의 농가부채는 1천671만원으로 전년보다 17.3% 감소했다.
도 농업정책과장은 “3농 정책의 으뜸인 부자되는 농업 실현을 위해 ‘생명식품산업 육성 5개년 계획’을 내실있게 추진해 지난해 무농약 이상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을 전국 대비 61%까지 확대한 성과가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