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비가 좋고 환경친화적인 디젤엔진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높아지는 상황에서 국내 자동차업계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디젤승용차규제완화를 통한 수요확대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자동차공학회와 한국로버트보쉬기전이 15일 서울 하얏트호텔에서 공동으로 개최한 ‘제2회 환경 친화형 신디젤 엔진 기술에 대한 국제 심포지엄’에서 현대자동차 이현순 부사장은 “최근 강화되고 있는 선진국 의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디젤엔진 기술개발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이 부사장은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자동차업체들의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적정 규모 이상의 디젤엔진 승용차에 대한 국내수요 확대가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BMW의 엔진개발기획 담당인 베르너 퀘엘 씨는 “환경문제가 훨씬 발달 한 유럽 자동차시장에서도 디젤승용차 시장점유율은 독일 30%,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는 45% 정도며 향상된 연비와 환경친화성으로 디젤승용 차의 점유율은 계속 높아지는 추세”라고 소개했다.
다임러크라이슬러의 승용차개발담당 게하르트 슈바인레 씨는 “승용차 에 적용되는 오늘날 한국의 법정 배기가스 규제치는 디젤엔진을 금지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