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국 외교장관 회담…“북한은 국제사회 입장 엄중히 받아들여야”
한미일 3국 외교장관은 19일 북한을 핵보유 국가로 인정할 수 없다는 데 의견을 같이 하고, 북한이 추가적인 상황 악화 조치를 취하지 말 것을 촉구했다. 반기문 외교통상부장관과 콘돌리사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 아소 다로(麻生太郞) 일본 외상은 이날 서울 한남동 외교통상부 장관 공관에서 가진 만찬 겸 회담에서 이같은 대북 메시지에 뜻을 모았다고 배석했던 정부 당국자가 전했다. 이 당국자는 핵보유 국가 불인정에 대해 “북한 핵실험이 얼마나 성공했는지 확실히 알 수는 없지만 북한은 핵국가가 됐다고 이야기할 가능성이 많다”며 “한미일은 국제사회에서 북한을 핵무기를 가진 국가로 대우하지 않는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3국 외교장관들은 유엔 안보리 결의 이행과 외교적 노력을 통해 북한이 핵무기 및 핵프로그램을 포기하도록 긴밀히 협력키로 했으며, 적절한 시기에 6자회담 수석대표 간 협의를 갖기로 했다. 아울러 3국 장관들은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대화의 문이 열려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무엇보다 북한의 전략적 결단이 중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장관들은 또 유엔 안보리 결의를 통해 나타난 국제사회의 확고한 입장을 북한이 엄중하게 받아들여 결의를 성실히 이행하고 6자회담에 무조건 복귀해 9.19 공동성명을 이행해 나갈 것을 다시금 촉구했다. 한편 정부 당국자는 유엔 안보리 결의 내용 중 화물검색과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 금강산 관광 및 개성공단 사업 등 현안과 관련, “유엔에서 대북 제재위원회 설치를 포함한 세부적인 사항을 정해 나갈 것이다. 그것이 나와야 결의의 의미를 확정지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미일 3국 외교장관이 정식 회담을 갖기는 2000년 10월 올브라이트 당시 미국 국무장관의 방북 후 방북 결과 공유와 협의를 위해 서울에서 회동한 이후 약 6년 만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