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시장이 22일 이렇게 말하며 서울시 공공부문 비정규직 1054명을 5월 1일부터 정규직(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했다.
박 시장은 이날 오전 시청 브리핑룸에서 '서울시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계획'에 대한 기자설명회를 열고 "서울시가 먼저 시작하고 또 민간부분이 함께할 수 있도록 선도적인 역할을 하겠다"며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사회에 확산시키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명했다.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근로자들은 서울시 본청,직속기관,사업소 1,476명중 324명, 투자 출연기관 1,440명 중 730명이다.
시가 이날 발표한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계획'은 ▲2년 이상 계속되는 상시·지속업무에 종사하는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 ▲미전환 비정규직에 대한 처우개선 ▲향후 신규채용시 상시·지속업무에 정규직 고용 원칙과 관행 확립을 핵심 내용으로 담고 있다.
정규직 전환 연령에 대한 정부 지침이 55세 이하인데 반해 서울시는 공무원 정년인 59세까지 확대했다.
서울시는 이와함께 정규직 전환자에 대한 고용의 질 개선을 위해 호봉제를 도입했다.
현재 기간제근로자의 평균 임금은 연 1,500만원 수준이지만 호봉제가 도입되면 전환된 무기계약직은 연1,860만원(1호봉 초임)으로 임금이 인상된다.
정부는 전환의 기준이 되는 상시.지속업무 대상을 '과거 2년 이상 지속, 향후 2년 이상 계속 예상 업무'로 정한데 반해, 서울시는 과거기간에 관계없이 향후 2년 이상 지속되는 업무에 종사할 경우 전환대상에 포함되도록 했다.
서울시는 이번에 전환되지 않는 비정규직 근로자도 복지포인트와 명절 휴가비 등을 지급하고 용역 회사 등을 통해서 간접 고용하는 근로자의 처우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하반기에 추가로 내놓을 계획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