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사회 안전망 구축위해, 시의회에 용역보고 진행
당진시가 ‘풍수해 저감 종합대책’을 수립한다.
시는 이번 종합대책은 중장기적인 지역 방재 정책을 수립?시행하기 위한 것으로 당진시의 풍수해 피해 예방과 저감을 위해 풍수해 특성, 피해 발생 원인, 재해 위험도 등을 종합 분석해 지역사회 안전망을 구축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시는 중간 용역분에 대해 지난 19일 시의회에 설명하고 의견을 청취했으며, 주민공청회와 충청남도 협의를 거쳐 소방방재청의 승인 후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시의회 설명 자리에서는 지방하천 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으며, 주민공청회 이전에 세부계획서 전체를 보내줄 것이 요구됐다.
종합대책의 공간적 범위는 당진시 전역으로 국가하천 1개소, 지방하천 22개소, 소하천 74개소, 해안선 등 총 하천연장 266.03km가 해당 된다.
이 대책에 따르면 풍수해 특성에 따라 유형별 위험지구를 ▲하천 재해 ▲해안 재해 ▲사면 재해 ▲바람 재해 ▲토사 재해 ▲내수 재해로 나눠 수립?시행되며, 배수갑문 증설, 관내 저수지 개선 등 구조적인 대책과 재난예?경보시스템 구축, 재해지도 작성 등의 비구조적 대책이 포함된다.
또, 풍수해 위험 지역으로 그 동안 풍수해가 발생했던 곳 100개소와 앞으로 예상되는 154개 지구를 후보지로 선정하고, 그것을 토대로 수계별, 위험 유형별 등 각 지구별 특성을 고려해 저감 대책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이번 대책수립이 방재 분야 최상위 종합계획으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기존의 분야별 계획을 재검토?조정하고, 지역별 실시를 통해 가장 최적의 예방 대책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김영구 교통재난과장은 “빠른 시일 내에 시의회 의견과 주민 공청회 의견을 반영한 최종 계획서를 만들겠다”며 “계획 수립 이전이라도 자연재해 예방사업에 주력해 시민의 재산과 인명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