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이 지나간 뒤 인공적으로 나무를 심는 것보다 그대로 두는 것이 생태계 복원에 좋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환경부는 강원대학교 정연숙 교수팀에 의뢰해 2000년 4월 대형산불이 발생한 동해안 지역을 대상으로 1년8개월 간 생태계 변화상을 연구한 결과 자연복원지가 인공조림지에 비해 종 다양성이나 토양보호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인공적으로 녹화사업을 하는 것이 태풍이나 폭우 등 자연재해에 조속히 대응할 수 있어 자연복원보다 낫다는 기존의 주장과 달라 관심을 끌고 있다.
따라서 환경부는 자연복원이 인공조림보다 우수하다는 이번 연구결과를 조림사업 주관부처인 농림부나 산림청, 강원도 등 관계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 보내 향후복원정책에 활용토록 촉구할 계획이다.
정 교수를 주축으로 한 이번 연구팀은 총 피해면적이 여의도의 80배에 이르는 강원도삼척시 등 동해안 산불지역에 대한 자연복원 상태를 조사한 결과 산불이 난 후 1년이 지난 지역에서는 재생능력이 우수한 활엽수림이 1.6m 자란 반면 인공조림지의소나무는 20∼30㎝ 성장하는 데 그쳤다고 말했다.
또한, 자연복원의 경우 종 다양성에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산불 발생 전 소나무가 70%, 활엽수가 3%인 지역이 대부분 활엽수로 바뀌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산불발생 후 인공조림을 할 때는 불에 탄 나무나 뿌리를 제거하기 때문에 우기 때 토양 유실이 심할 수 있지만 자연복원의 경우 활엽수의 빠른 성장이 토양 유실을 막아주기 때문에 생태계 복원에 낫다고 지적했으며, 정 교수는“소나무 등을 심은 인공조림지의 토양유실이 자연 원지보다 31배 높게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산림청은“인공조림 때 타버린 나무를 자르는 경우는 있지만 정 교수의 주장과 달리 자연재해를 대비해 뿌리를 파내지 않기 때문에 토양유실이 크지 않다”고 해명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