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시흥시 시화공단과 주거지역 사이에 설치된 완충녹지대가 각종 오염물질을 차단하는 데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서울대학교 박종화교수는 시(市)가 개최한‘친환경적인 시화지구 조성을 위한 심포지엄’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시화공단과 주거지역 사이에 배치된 완충녹지대는저기압, 기온 역전 등의 기상상태에서 악취나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를 완화하는 데 역부족”이라고 지적했다.
박교수는 특히 “높이 10m의 완충녹지대 정상부에 식재된 수목이 높이 16m크기로 성장하더라도 대기오염 물질을 완벽히 차단하기는 불가능하다”며 “악취오염 등 대기 오염피해를 줄이게 하기 위해 오염물질 배출원에 대한 규제와 완충녹지의 대기오염 정화기능을 보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어 “저기압, 기온 역전, 해풍 등에 의한 악취 피해의 정도를 지리정보체계 (GIS)를 활용, 조기 경보를 발령하는 등 예보체계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시는 이에 따라 시화지구에 나무 100만 그루를 심는 등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한편 1996년부터 2000년 사이에 설치된 완충녹지대는 너비 175m, 길이 3.5㎞규모로 공단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