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대통령은 지난 9일 북한 핵실험 발표 이후 10일 여야 5당 지도부와 전직 대통령들을 초청해 의견을 수렴했으며, 11일에는 남북경협 관계자들과의 오찬, 민주평화통일자문위원회 해외자문위원들과의 다과회를 가진 데 이어 이날 저녁 외교안보 전문가들을 청와대로 초청, 만찬 간담회를 갖고 정부의 후속조치에 필요한 의견을 수렴했다. 청와대 만찬에 참석한 외교안보 전문가들은 북 핵실험 발표 이후 남북관계와 국제상황, 대북 포용정책, 최근 한일 정상회담과 13일로 예정된 한중 정상회담 등에 대해 노 대통령과 의견을 나눴다고 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날 만찬 간담회에는 이수훈 대통령 자문 동북아시대위원장과 조중표 외교안보연구원장, 이경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 김형국 한국국제정치학회장, 김용호 한국정치학회장,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김기정, 김명석 연세대 정외과 교수, 김영수 서강대 정외과 교수, 김근식 경남대 정외과 교수 등이 참석했다. 청와대에선 이병완 비서실장과 송민순 안보실장이 배석했다. 참석자들은 노 대통령에게 “대통령께서 원로 등의 의견도 폭넓게 수렴하는 한편 국민들의 불안한 심리를 해소하는 데도 노력해주기 바란다”며 “금강산 관광, 개성공단 문제는 신중히 판단할 문제다. 한번 끊으면 다시 연결하는 데 힘이 든다. 사업이 지속되면 외국인들에게 남북관계가 잘 관리된다는 인식을 줄 수 있으나 중단되면 오히려 외국투자자들이 빠져나갈 가능성이 있다”고 조언했다. 참석자들은 또 “핵실험 이후 국제상황이 달라졌다는 점에서 앞으로는 실사구시적인 포용과 견제의 이중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일정 정도의 긴장국면도 필요하다” “압박에 참여하면서도 남북관계는 최소한의 끈을 유지하면서 다른 형태의 협상의 틀을 만들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제재가 불가피하더라도 이것이 북한을 협상장으로 나오게 하기 위한 제재라는 점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는 등의 의견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노 대통령은 “많은 참고가 됐다”면서 “이 상황을 잘 관리해 나가겠으며, 앞으로도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전문가들이 좋은 방향을 제시해달라”고 요청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