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은 11일 북한 핵문제 해결의 방법에 대해 “‘강력한 제재’와 ‘평화적 대화에 의한 해결’ 두 가지가 있다”며 “너무 많은 비용을 치르는 성공은 엄청난 후유증을 남기기 때문에 평화적인 해결로 가야 한다”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또 “북한이 말하는 안보의 위협이라는 것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거나 대단히 과장된 것”이라며 “북한이 진정한 의미에서 평화와 안전을 바란다면 무장력도 필요하겠지만 평화의 질서를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가진 민주평통 해외자문위원 초청 다과회에서 이같이 밝히고 “어려운 일이긴 하지만 우리는 관리할 수 있고, 시간이 걸리겠지만 마침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 대통령은 북핵 문제 해결과 관련 “(제재와 대화) 두 가지가 적절하게 행사돼야 한다”며 “하지만 궁극적으로 무력 행사없이, 불행한 사태없이 해결돼야 한다. 평화적인 방법, 이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 중요한 가치다”라고 말했다. 특히 노 대통령은 “스스로 안전을 지켜나가는 방법은 외부의 무력적 공격을 막아낼 만한 군사력이 반드시 있어야 하지만,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안보가 확보되지 않는다”며 “평화의 질서와 평화의 분위기, 이것이 깨지면 아무리 강력한 무장력을 갖고 있어도 안심하고 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나친 무장력은 평화의 질서를 해치고, 주변국의 신뢰를 해치기 때문에 오히려 안보에 위협이 된다는 사실을 우리 모두 알아야 한다”며 “북한이 무장력만으로 안보를 말할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평화적 행동과 신뢰있는 행동을 통해 안보를 기해 나가는 방향으로 새로운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북한 핵실험 발표에도 큰 사회 동요가 생기지 않는 점에 대해 “핵실험에도 불구하고 차분하게 대응하는 분위기가 만들어진 것은 남북 간의 화해, 교류, 협력이 큰 진전을 이뤘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또 “남북 관계가 이처럼 화해와 협력의 분위기로 바뀌지 않은 상황에서 핵실험이 일어났다고 가정해 보자. 지금 한국 국민들이 얼마나 불안해 하겠나. 경제 활동이나 일상 생업이 잘 이뤄지겠나. 그야말로 쌀 사재기, 생필품 사재기하는 상황이 오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사재기를 하면 국내 불안을 해소하는데 신경을 써야 하지만 국민이 지금은 그런 부담을 안 줘서 자신있게 대외관계를 관리해 가는 쪽으로 간다”며 국민들에 대한 감사를 표시했다. 한편 이날 민주평통은 북핵 해결을 위한 노 대통령의 대책 방향에 전적인 공감을 표한 후 ▲평화적 대화에 의한 해결 ▲한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나지 않도록 대통령이 최선을 다해 막으며 국제사회를 이끌 것 ▲6자회담과 함께 북미회담을 열어야 할 것 이라는 세 가지 원칙을 제시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