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는 9일 북한의 핵실험 강행과 관련해 “여야 지도자 면담 등 국내적 협의과정과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조율된 조치를 취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통일부 양창석 대변인은 9일 정부중앙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런 맥락에서 수해지원, 개성공단, 금강산 등 개별 사안에 대해서도 구체적, 종합적으로 상황을 검토해서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이 같은 검토에 시간이) 오래 걸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율된 조치’란 이날 발표된 북한 핵실험에 대한 정부 성명 7항에서 유엔 안보리의 논의를 지지하고 국내에서 폭넓은 의견을 수렴하면서 국내외적으로 조율된 조치를 취하겠다는 데 따른 것이다. 통일부는 10일 개성공단 입주기업 대표자들을 만나고 금강산관광 문제에 대해서도 현대아산 측과 긴밀히 협의할 예정이다. 앵 대변인은 국내외 협의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우리 관계국들도 있고 유엔도 있고 국제적 협의와 판단을 거쳐야 하며 (국내에선) 정부가 여야 지도자나 각계 사회지도자의 여론을 수렴하는 작업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직 끝나지 않은 대북 수해물자 지원의 지속 여부와 관련해선 “아직 여러 가지로 검토 중”이라고 답변했다. 양 대변인은 대북 포용정책도 재검토 대상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포용정책 목표는 긴장완화나 동질성 회복, 경제적 격차 해소 등 여러 가지가 있다”며 “전반적, 종합적으로 생각해야 할 것”이라고 원론적 입장을 강조했다. 개성공단과 금강산 현지에 있는 우리 국민의 상황에 대해선 “신변안전이 중요한데 현재 신변안전에 아무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신변안전 보장각서도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핵실험에 앞선 정부의 대북 경고와 관련, “핵실험 저지라는 큰 과제를 안고 우리 입장을 북측에 전달한다는 게 방침이었고 그 방침 아래 길지 않은 시간이었지만 할 수 있는 만큼 했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