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락가나 유흥업소 등지에서 `성구매′ 경험이 있는 남성들의 대부분이 성구매 후에 죄책감을 못느끼고 있으며 여성들도 5명에 1명꼴로 `때로는 성구매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범법행위로 규정된 성구매에 대한 사회인식이 해이해진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 여성의 전화연합은 지난 10일 서울 태평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교육장에서 `성매매에 대한 대중의식 토론회′를 갖고 지난 7월부터 두달간 서울, 부산, 대구 등 전국 10개 도시 성인남녀 1천815명을 대상으로 성매매에 대한 의식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성구매 경험이 있다고 답한 남성 577명(중복응답자 포함) 중 104명(18.0%)만이 `성구매 후의 느낌′을 묻는 질문에 `죄책감을 느꼈다′고 답했다.
나머지 응답자들은 156명(27.0%)이 `성병에 걸릴까봐 두려웠다′, 150명(26.0%)이 `별 느낌이 없었다′, 123명(21.3%)이 `기대와 달라 실망했다′라고 응답, 상당수가 자신의 성구매를 범법행위로 기억하고 있지 않았다.
또 결혼상태인 394명의 남성 응답자들 중 215명(80%)이 같은 질문에 대해 `성병에 걸릴까봐 두려웠다′ 등 죄책감과 무관한 답안을 골라 혼인 여부가 성구매 행위의 범법성을 자각하는 것과는 별 관계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성구매 동기를 묻는 질문에는 중복을 포함한 673명의 남성 응답자 중 371명(55.1%)이 `술자리 또는 접대 관행때문에′라고 답했으며 95명(14.1%)만이 `성적 욕구를 해소하기 위해서′라고 응답해 직장 문화가 성구매 행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앞으로 성구매를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907명의 여성들 중 200명(22.1%)은 `기회가 닿으면 하겠다′, `상황에 따라 할 수 있다′ 또는 `가급적이면 안하겠다′고 대답했다.
또 여성 응답자의 224명(24.7%)은 `성매매는 돈을 주고 하는 행위이므로 정당하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 또는 `그럴 수도 있다′라고 답해 적지않은 여성들이 성매매 행위의 위법성을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 여성의 전화 연합은 "성매매 행위를 `필요악′으로 바라보는 사회적 시각 때문에 여성의 인권과 존엄성이 상처를 입고 있다"며 "검.경찰 등 관련 공무원들은 성구매자 단속을 강화하고 대중교육을 통해 성매매에 대한 인식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