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복합환승센터와 연계교통 체계도 논의 / 문제점 토론 및 개선대책 마련 -
대구시는 동대구역 고가교 개체 및 확장공사로 안전사고 예방과 시민들의 교통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동대구역 고가교 안전시공을 위한 워크숍’을 12월 22일 오후 1시 대구상공회의소 4층 중 회의실에서 개최했다.
○ 이번 워크숍에는 안전ㆍ교통전문가 및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 복합환승센터 건립 시행사, 시공참여 기술자 등 시공관련 관계자가 모두 참석했다.
○ 이 자리에서는 동대구역 고가교 개체사업과 복합환승센터와 연계성 검토, 고속철도 2단계 사업과 병행 대책, 공사 중 교통처리 대책, 철도 운영의 안전성 확보 방안, 역세권 개발에 대한 정책방향 등에 대해 토론하고 협의했다.
○ 이번 워크숍의 추진 배경으로 동대구역 고가교는 철도선상 위를 횡단하는 구조물로 시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사자재 낙하물 하나에도 시민의 안전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고가교 철거 및 설치 공사 기간에 우회도로를 만들 수 없어 동대구로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교통 불편이 가중될 수밖에 없는 취약한 도로 구조이기 때문이다.
○ 또 동대구역 고가교 개체공사와 병행해 같은 구간에 고속철도 2단계(대구도심구간) 건설사업을 철도시설공단에서 시행중에 있고,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건립공사도 (주)신세계에서 내년부터 추진하는 등 대규모 공사가 동일 장소에서 시행하지만 철도시설 운영을 철도공사(코레일)에서 하는 관계로 공사관련 기관의 사전 검토 및 협조가 무엇보다도 절실하다는 판단에 따라 이번 워크숍을 추진하게 됐다.
○ 특히 이번 행사 후에는 관련기관 협의회도 계획돼 있어 공사 중 안전시공 뿐 아니라 상시 협의회 운영으로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해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대구의 관문인 동대구역 광장은 40년 경과된 노후시설물로 대구를 찾는 관광객과 철도이용 시민들에게 발전에서 제외되고 침체된 대구의 이미지를 떠 올리게 하는 등 조속히 개선해야 할 사업이나 사업비 과다소요로 시 재정이 어려워 이를 개선하지 못하고 부분보수 등으로 사용해 왔다.
○ 이에 대구시는 부정적인 대구이미지를 개선하고 2014년 전면 개통되는 경부고속철도를 대비코자 1천 476억 원을 국비로 확보해 2014. 12월까지 고가도로 차선을 증설(6차로→10차로)한다. 또 광장을 새로 설치(18,398㎡)해 휴게 공간, 조경시설, 분수시설 등을 제공하고 철도역 정문 앞과 맞은편에 버스승강장을 신설해 환승객의 편리를 도모한다. 교통소통에 막대한 지장을 주고 있는 손님대기 택시의 대기공간도 동ㆍ서 방향에 각각 설치한다.
○ 2015년 상반기 완료예정으로 있는 복합환승센터가 건립돼 시외ㆍ고속버스터미널이 이전되고 현재 계획 중인 동대구 구 역사 리모델링 사업이 완료되면 그 동안 부진했던 역세권 개발사업도 본격적으로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 대구시 김연수 행정부시장은 “동대구역 고가교 개체 및 확장공사가 완료되면 철도 이용이 더욱 편리해지고 주변경관이 획기적으로 개선돼 그 동안 부진했던 역세권 개발사업도 본격적으로 탄력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번 워크숍에서 나온 토론 결과를 실시설계에 반영하는 등 향후 사업 시행에 있어 관련기관과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해 공사에 철저를 기하겠다.”고 말했다.
워커숍 개요
? 일 시 : 2011. 12. 22(목) 13:00 ~ 20:00
? 장 소 : 대구상공회의소 4층 중회의실1
? 참석 대상
- 시 : 디자인총괄 본부, 도시주택국, 교통국, 건설관리본부
- 관련기관 : 한국철도시설공단, 한국철도시설공단 영남본부, 한국철도공사, (주)신세계
공사관련 설계사, 시공사, 감리단 등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