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신 보도] 각국 정상들에 북핵 해결 노력 · 성과 소개
노무현 대통령은 제9차 아세안+3정상회의와 제1차 동아시아정상회의(EAS) 참석을 통해 아시아지도자들과 경제협력, 아시아의 공동번영, 북한 핵 등 현안문제를 논의하며 두 정상회의를 전후하여 말레이시아와 필리핀을 국빈 방문, 활발한 정상외교를 펼친다. 말레이시아 국빈방문과 지역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8일 쿠알라룸푸르에 도착한 노대통령은 9일자 뉴 스트레이츠 타임스에 보도된 서면인터뷰에서 한-말레이시아 관계를 심화시키는 열쇠는 양국간 무역기술 협력확대와 합작사업증대라고 말하고 80년대에 한국의 동방정책이 시작된 이후 양국간에 고무적 수준의 양자관계가 진행돼 왔다고 지적했다. 노대통령은 또 EAS를 가리켜 한국이 이 기구를 아세안통합에 기여토록 돕는 데 창의적 역할을 할 기회라고 말했다. 노 대통령 외교와 관련, 중국 신경보(5일)는 김만수 청와대대변인과 한국 언론을 인용해 노대통령이 각국 정상들에게 정부의 북핵문제 해결노력과 성과를 소개하고 참가국들의 지속적 지원을 촉구하는 등 북핵 입장을 재확인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신문은 또 대통령이 정상들과 동아시아의 공동번영을 위한 협력 이행방안, 동아시아공동체 실현방안, 다국적 범죄예방 등 당면이슈들을 논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EAS정상선언 문안 잠정합의여타지역 주요 매체들도 30억 인구를 포용하는 대아시아의 틀이 될 EAS 창립정상회의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9일 AP통신에 따르면 EAS 창립정상회의 개막(14일)을 앞두고 각국 외교관들은 8일 동아시아에 궁극적 경제공동체를 창설하려는 원대한 계획에 잠정합의했다. 그러나 정상들이 발표할 콸라룸푸르선언 문안에 대한 잠정합의는 추가논의와 정상회의 전 소집되는 각료회의에서의 수정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고 통신은 전했다. 영국 시사주간 이코노미스트는 EAS 열성지지자들이 이 기구를 “새로운 아시아”의 태동이라고 찬양하고 있으나 이 지역은 각각의 상충하는 입장, 중국의 지역리더 야심, 한-일 중-일 간 역사마찰, 확고한 안보기반 결여, 에너지자원쟁탈전 등 숱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주간지는 그러나 지역 국가들이 무역투자 및 금융 협력, 에이즈, AI, WMD확산, 테러 등 현실 문제를 토의할 기회는 많을수록 좋다며 한국, 중국, 일본도 과거역사를 접어두고 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의했다. 아시아 정상회의 관련보도에서 매체들이 야스쿠니분쟁으로 아세안+3과 EAS에서 한중일 3자 정상회담 및 3국 외무장관회담이 열리지 않는 점과 EAS에서의 미국 배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은 주목할 일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