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22(토) 18:00 강정보 도류제 / 강정보 개방행사 개최 -
대구의 새로운 랜드마크인 강정보가 낙동강의 새 물결을 연다. 대구시는 10월 22일 오후 6시 낙동강과 금호강이 합류되는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 강정제방(도류제)에서 국토해양부주관으로 강정보 개방행사를 개최한다.
○ 강정보 개방 사전행사로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자전거체험, 걷기 대회, 새 물결음악회, 4대강 생일파티 등이 열린다. 특히 4대강 생일파티는 달성, 고령주민 200여 명이 참가해 강정보 길이의 10분의 1인 95.3m의 인절미를 양 군(郡) 주민들이 반씩 만들어 보 중앙에서 연결하는 행사다. 이는 앞으로 양 군(郡)이 서로 화합하고 단결하자는 의미로 뜻 깊은 행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이후 오후 5시부터 식전행사로 홍보영상상영, 연예인(설운도)축하 공연 등이 있으며 6시부터 그랜드오픈 본행사가 시작된다. 본 행사에는 최광식 문화체육관광부장관과 지역 국회의원, 김범일 시장, 김관용 경상북도지사와 시민 등 10,0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며, 강정보와 함께 개방되는 한강의 이포보, 금강의 공주보, 영상강의 승촌보를 연결하는 4원 중개방송(KBS1)도 실시된다.
○ 대구시는 강정보 개방행사에 참가하는 일반시민들의 교통 편의를 위해 계명대학교 남측 주차장(300대), 호산초등학교 운동장(200대), 죽곡택지지구 내 학교부지(500대)등에 주차장을 확보하고 주차장에서 행사장까지 45인승 셔틀 버스 21대를 운행할 계획이다.
○ 이날 개방되는 강정보는 상류 안동댐으로부터 166㎞, 하류 낙동강 하구 둑으로부터 168㎞ 지점으로 낙동강 중심에 위치한 보로서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건설된 16개 보(洑) 중에 길이가 가장 길고(L=953.5m-고정보 833.5m, 가동보 120m), 가야 토기와 가야금, 대구의 과학과 패션을 형상화해 오랜 역사와 오늘날의 발전상을 잘 표현한 ‘명품보’ 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저류용량은 1억8백만 톤으로 영천댐을 능가한다.
○ 특히 강정보에 설치된 가동보는 원반부를 회전시켜 수문을 개폐하는 회전식 수문으로 최적의 유량 조절이 가능하며 하층의 퇴적물을 배출하는 기능이 탁월하다.
○ 강정보에 설치된 소수력 발전소의(1,500㎾, 2대) 연간 발전량은 12.46Gwh로 3천 가구가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하게 되며. 6천900t 정도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또한 강정보 한 가운데에는 역사 속에서 유유히 흘러 온 낙동강의 모습을 바라볼 수 있는 가야토기를 형상화한 탄주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톱니바퀴 형상을 한 낙락섬(친수체험공간)과 12계단, 12색의 조명으로 구성된 물풍금 등이 설치돼 있다.
○ 사업 효과도 검증됐다. 실 예로 낙동강살리기 사업으로 지난 2003년 9월 태풍 매미 때 236mm의 비가 내려 사문진교 옆 화원유원지 일대 마을 전체가 완전히 물속에 잠겨 큰 피해를 입었으나, 올해 7월에는 302mm의 폭우가 내렸음에도 하상준설로 인해 평균 수위가 3.5m정도 낮아져 전혀 홍수피해를 입지 않아 사업 효과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 대구시는 낙동강과 금호강이 만나는 강정제(도류제)에 내년 6월말 준공예정으로 낙동강 대표문화관을 건립 중에 있다. 총사업비 150억원으로 지상 4층, 연면적 3,400㎡규모로 건물의 모양은 미국의 건축전문설계회사인「아심토트사」가 ????한국의 도자기????,????물고기가 튀는 모양????,????물수제비의 파장????등을 형상화해서 디자인 했다.
○ 대구시 김연수 행정부시장은 “낙동강 명품보인 강정보는 대구 지역의 새로운 랜드마크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관광명소화로 개발해 관광객 유치에도 힘을 쏟을 것”이라고 말했다.
○ 한편 강정(江亭)이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예전에 이곳 강 위에 정자가 있었다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