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차인기모델 시세 차이 평균10%, 1년차 감가상각 가장 커
최근 경기불황의 여파로 신차구입이 어려운 소비자들이 중고차를 구입하려는 소비자가 늘고 있는 가운데 인기모델과 비인기모델, 1년차와 2년차 이후부터 감가상각 비율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6(금)일 중고차사이트 카즈(http://www.carz.co.kr대표 : 문건웅)는 신차시장에서 인기모델과 비인기모델은 중고차시장에서 8~12%의 감가율 차이가 발생한다고 발표했다. 신차시장에서 인기모델과 비인기모델을 차종별로 비교한 결과, 신차 판매량이 적었던 비인기 모델은 신차 판매량이 많은 모델에 비해중고차시세 차이가 평균 10%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차가격 2010만인 NF쏘나타 N20럭셔리는 2006년식 모델의 중고차시세가 신차가격으로부터 28%가 감가된 1440만원에 형성된 반면 중형차종중 가장 판매가 저조했던 로체 어드밴스 2.0 LEX은 신차가격에 비해 36% 하락한 1250만원대에 형성, 두 모델간의 감가율 차이는 8%로 나타났다. 대형 고급 세단에서도 현대차 에쿠스가 40%가 감가된데 비해 쌍용차 뉴체어맨의 가치는 51% 하락했다. 준중형에서도 아반떼HD S16 엘레강스가 27%하락했지만, GM대우 라세티 4도어 다이아몬드 2006년식은 37% 하락했다.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격이 낮춰지는 감가상각비율이 자동차는 처음 1년이 가장 크게 적용되고 2년차 이후부터는 감가상각 비율이 크게 줄어들어 그 이후로는 가격하락이 완만하게 이루어진다.베스트셀링카인 현대 NF소나타 N20 디럭스 모델의 경우 1년이 경과된 중고차시세가 신차가격에서 평균 22.4%가 하락했고, 그 이후부터는 평균 10%이하로 완만하게 이루어졌다. 그 외 로체, 윈스톰, 렉스턴II, 뉴SM5 역시 동일한 모습을 보였다. 출시 1년이 지난 후 각각 29.9%, 16.3%, 25.7%, 25.1% 로 1년째에 큰 폭의 가격하락이 이루어졌고 그 이후로는 역시 완만한 곡선을 이루며 가격하락이 진행됐다. 자동차는 시간이 흐를수록 가격이 내려간다. 오래될수록 차량이 노후되어 상태가 안좋아지고 타이밍벨트, 라이닝등 교체해야할 소모품의 비용도 높아지기 때문에 1년전후의 ‘신차급 중고차’가 좋은 대안이 될 수도 있다. 대체적으로 현대차와 삼성차가 가장 감가율이 작은 반면, 쌍용자동차의 감가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출고 후 3년이 경과될 경우 중고자동차시세가 평균 8~12% 더 하락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