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추가로 공시예정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결과 학교별 향상도는 학교가 실제로 노력한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예정이다.
ㅇ 동 방안에 따라 동일한 학생의 학력 향상정도(중3→고2)를 측정하여 학교 향상도를 산출함으로써, 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의 효과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가능하게 된다.
□ 학교 향상도는 당해 학교 학생의 상급학교(고2)에서의 실제 성취도 점수와 이전 학년급(중3) 점수를 고려, 도출되는 기대점수의 차이(백분율)로 산출된다.
□ 교육과학기술부는 학교별 향상도가 학교의 학력향상 정도를 직접 측정하게 됨에 따라,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정부는 올해 고등학교 학교별 향상도 도입을 시작으로, 내년에는 이를 중학교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ㅇ 초등학교는 사전 성취도 점수 자료가 없는 점 등을 고려하여 학교 향상도를 공시하지 않기로 하였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