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지역에 어렵다는 친환경 무농약 사과재배에 성공한 농가들이 있어 화제다.
화제의 농가들은 충주시 소태면의 홍명성, 허만영, 최창섭 씨와 엄정면의 김영준, 호암동의 손보영 씨 등 5명으로 재배면적은 15ha(연간판매액 6억원)정도로 충주지역 사과 전체재배면적 1,920ha에 비해 비교할 수도 없을 정도의 적은 면적이다.
이들은 수년전부터 성페로몬 이용 발생 예찰 및 트랩류 등을 활용해 나방류와 나무좀벌레 등을 예방하고 친환경제제를 이용해 초생재배로 토양병해방지와 천적밀도 회복, 응애 등 병해충 발생 등을 현저하게 줄였으며, 화학비료 사용량을 줄이고 유기질 비료 등의 시비를 대폭 늘리는 등 친환경재배로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하는데 노력해 왔다.
무농약 사과 재배농장을 보면 일반농장과 확연히 구분되는 차이점이라며 다른 과원은 빨간사과가 주렁주렁 달려 있지만 이들의 과원은 메밀꽃이 핀 듯 뽀얗게 보여 농약을 심하게 살포한 것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친환경농법의 한 과정인 친환경 농자재인 ‘석회보르드액’을 살포한 것이다.
무농약 재배 사과는 일반사과보다 과일착색이 떨어지지만 사각사각하는 질감과 독특한 향과 맛이 관행재배와는 다르다.
기관에서 2년마다 인증을 갱신하고 수시로 농약잔류검사를 실시하기 때문에 믿고 구매할 수 있는 안전한 농산물이다.
친환경농업이란 합성농약 화학비료 및 향균제 등 화학제를 사용하지 아니하거나 사용을 최소화하고 농축임업 부산물 재활용을 통해 농업생태계와 환경을 유지 보전하면서 안전한 농축산물을 생산하는 농업을 말하며, 무농약 농산물이란 유기합성 농약은 일체 사용하지 않고 화학비료는 관행재배보다 1/3이내로 시비해 생산하는 것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