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은 24일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은 자율적, 자발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정부가 강요해서 추진하면 장기적으로 성공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보고회의에서 이같이 말하고 "기업의 자율적 참여만이 창의와 자율을 본바탕으로 하는 시장경제에서 장기적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덧붙였다. 노 대통령은 이날 참석자들에게 자발적 참여와 함께 '멀리보는 상생'과 '사람 중심의 경영'을 강조했다. 상생협력을 중소기업에 대한 시혜적 차원이 아니라 기업이 추구하는 사람중심의 경영전략의 일환으로 보고 이런 차원에서 비정규직 문제, 출산·육아 문제도 함께 해결해 나가자는 것. 노 대통령은 "지금까지는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을 30대 기업, 2·3차 협력업체 등으로 확산시키는 것을 논의했는데, 오늘 새롭게 제기된 비정규직 문제, 저출산 대책 등의 이슈도 상생협력의 틀 속에서 장기적으로 검토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는 "비정규직의 교육·훈련 기회 상실은 국가 전체 경쟁력 저하로 연결되므로 인적 자원 중심의 경영이 중요하다"며 "저출산 대책은 여성인력 활용과도 연관된 만큼 출산·육아 부담을 덜어줄 경우 여성인력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중소기업들도 지속적인 혁신과 교육·훈련 노력을 통해 역량을 개발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토록 노력해야만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을 통해 기술 공유 등 지원이 가능할 것"이라며 중소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을 독려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구본무 LG그룹 회장은 상생협력을 경쟁력 강화를 위해 경영전략의 일환으로 추진한다는 데 공감을 표시했다. 구 회장은 “상생협력을 사회발전 전략의 차원으로 채택한 것은 기업의 사회적 역할 차원에서도 중요하다”며 저출산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LG그룹은 평택, 파주, 구미 , 창원공장의 보육시설을 협력업체의 여성근로자도 사용하도록 해 저출산 극복에 동참하겠다고 밝혔다. 최태원 SK 회장은 "1차 협력업체가 2,3차 업체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 특히 중소기업의 판로 확대를 위해 석유화학 설비프로젝트 등으로 외국에 진출할 경우 동반진출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은 상생협력은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2차, 3차 벤더 중소기업까지 상생협력이 미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으며, 이구택 포스코 회장은 포항과 광양공장 교육시설에서 3,000명의 중소기업인을 교육시킬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