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8월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지구환경 보전과 경제 번영, 성장과 삶의 질 향상, 경제발전과 사회통합, 국가의 발전과 개인의 발전이 함께 가는 새로운 발전 체제를 만들어야 한다”며 새로운 국정기조로 ‘공생발전’을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66주년 광복절 기념식 경축사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우리 모두의 생존기반을 다지고, 격차를 줄이며, 일자리가 늘어나는 성장이 되어야 한다”며 “서로가 서로를 보살피는 따뜻한 사회가 바로 ‘공생발전’”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최근 무상급식 등 각종 복지정책 제안에 대해, “정치권의 경쟁적인 복지 포퓰리즘이 국가부도 사태를 낳은 국가들의 전철을 밟아선 안된다”며 “재정이 고갈되면 복지도 지속할 수 없다. 잘사는 사람들에게까지 복지를 제공하느라 어려운 이들에게 돌아갈 복지를 제대로 못하는 우를 범해선 안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임기가 끝나는 2013년까지 균형재정을 달성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2008년 금융위기도 우리 재정이 건전했기 때문에 남들보다 잘 대응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또 “균형 재정을 추진하는 가운데서도 맞춤형 복지와 삶의 질과 관련된 예산만큼은 늘려나가겠다”며 “공생발전을 위해 필요한 일도 적극적으로 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또 “물가를 안정시키는 일이 지금 매우 중요한 과제”라며 전·월세 시장 안정과 서민 주거비 경감을 위해 소형 임대주택 공급을 늘리는 한편, 모든 정책수단을 총동원해 물가안정에 총력을 기울이고 내수활성화 정책을 통해 자영업자와 골목상권을 보호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재해 대비 기준을 대폭 강화해 내년 예산부터 적극적으로 반영하겠다고 제시했다.
남북관계에 있어서는 “‘평화와 협력의 시대’를 열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책임 있는 행동과 진정한 자세로 상호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이 대통령은 “도발을 통해 이룰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면서 “어린이를 위한 인도적 지원과 자연재해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독도 영유권을 주장한 일본 교과서의 역사 왜곡을 겨냥, “일본은 미래세대에게 올바른 역사를 가르칠 책임이 있다”면서 “그렇게 함으로써 한일의 젊은 세대는 밝은 미래를 향해 함께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이어 “우리는 미래를 위해 불행했던 과거에 얽매이지 않을 것”이라며 “하지만 지난 역사를 우리 국민은 결코 잊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마지막으로 “지난 60여 년간 불굴의 도전과 성취가 오늘의 대한민국을 창조했듯이 함께 가는 공생발전을 향한 우리의 노력을 행복한 대한민국을 반드시 창조해 낼 것”이라며 “세계 속의 ‘더 큰 대한민국’을 만들자”고 강조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