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부부가 늘면서, 육아에 대한 부담도 커지고 있다. 워킹 맘들은 퇴근 후 집에 들어가면 새벽까지 보채는 아이를 달래기 위해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는 날이 비일비재하다. 또, 가까스로 친정엄마 눈치를 보며 아이를 맡기고 직장에 왔다고 해도 육아에서 해방되는 것은 아니다. 집에 두고 온 아기 생각으로 업무에 전념하기 힘들고, 간밤의 피로로 컨디션이 좋지 않다. 집안일과 아이 때문에 회식자리도 빠지기 일쑤이며, 이렇게 고된 육아와 직장생활을 병행하다 보면 젊은 엄마들은 우울증에 시달리기도 한다. 이러한 워킹맘들에게는 아이를 믿고 맡길 수 있는 아이 전문가가 필요하다.
'마음으로(대표 양은선,
www.maumuro.co.kr)'는 베이비시터를 모집하는 동시에 소개시켜
주는 베이비시터 전문 브랜드이다. 베이비시터는 부모를 대신해 자녀에 대한 교육, 건강, 영양, 안전에 대한 균형 잡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아?아동 기초전문가를 말한다.
베이비시터의 역할은 아이가 엄마와 함께 있을 때와 같은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아이들의 연령별에 따라서 그 날의 스캐즐을 결정한다. 예로 우유먹이기 및 목욕시키기 부터 13개월부터 18개월이 되면 아이의 활동성이 높아져 조금씩 말을 배우는 시기임을 감안하여 말을 많이 하도록 유도한다. 18개월부터는 놀이를 통한 학습으로 사회성과 논리성을 길러주는데 중점을 둔다. 아동기부터는 올바른 습관 형성을 위하여 인사예절이나 식사예절과 같은 교육에 힘쓴다.
‘마음으로’의 베이비시터들은 본사에서 진행하는 교육을 반드시 이수하여야 하며, 근무조건도 “시터의 집과 부모회원의 집이 40분 내외의 거리여야 한다”는 근무조건을 내세우고 있다.
또한, ‘마음으로’에서는 베이비시터 뿐 아니라, 아이가 책 읽는 습관이 잡힐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북 시터’와 놀이학습을 통해 아이들의 신체, 언어, 인지, 사고, 정서, 사회성 발달에 도움을 주는 ‘놀이학습시터’까지 만나볼 수 있다. 이름처럼 부모의 마음으로, 아이의 마음으로, 사랑하는 마음으로 아이의 올바른 성장을 돕는다.
그러나 베이비시터는 육아협조자로서, 아이를 베이비시터에게 맡기더라도 부모의 끊임없는 관심이 요구된다. 베이비시터를 믿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아기에 대해 자주 상의하고 베이비시터에게 솔직한 의사표현으로 자신의 육아방법을 잘 따라 주도록 하는 것이 좋다. 베이비시터가 아이를 돌보기는 하지만, 양육의 주체는 엄마 본인이므로 시터가 알아서 해주겠지 하는 안이한 자세보다는 아이의 교육이나 이유식을 주도하면 베이비시터도 아이에게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된다. 또한, 베이비시터에게 직접 말하기 곤란한 문제가 생길 경우, 망설이지 말고 업체 담당자와 상의하여 도움을 받아야한다.
양육 스트레스는 후의 출산계획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국가차원의 육아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엄마의 스트레스는 곧 아이에게 전달되며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믿을 수 있는 베이비시터로 양육의 부담을 나누고 아이와 엄마 모두 행복한 육아를 꾸려나가길 바란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