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국민 호소문…서울 복판 외국군 주둔 청산 위한 자주적 선택
한명숙 국무총리는 평택 미군기지 이전 문제와 관련 “폭력과 투쟁이 아닌 평화로운 대화와 타협을 통해 사회적 난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한 또 하나의 사례를 이뤄내자”고 호소했다. 한 총리는 12일 ‘국민께 드리는 호소의 말씀’을 통해 “이번 주말에 또 한 번의 대규모 시위가 예고된 가운데 우리 사회 내부의 갈등과 대립의 골이 깊어지고 있어 심히 우려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 총리는 이에 앞서 “국민 여러분께 안타까움과 심려를 끼쳐드린 데 대해 송구스런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는 총리로서 착찹한 심정을 밝혔다. 이어“정부와 다른 생각을 가질 수 있고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지만 표출 방식은 합법적이고 평화적이어야 한다”며 “경찰과 군인, 시위에 참가하는 사람들과 주민, 이 모두가 우리의 아들, 딸이고 형제들인데 우발적 충돌로 폭력의 악순환에 휘말린다면 모두에게 아무런 도움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날 한 총리는 정부가 기지 이전 예정지 주민들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있음을 밝혔다. 한 총리는 “일부 주민들은 이미 50년의 역사 속에 두 차례나 강제수용을 당했다. 불모지의 갯벌을 스스로의 힘으로 간척해 오늘의 삶의 터전을 이뤄놓은 것이다. 그냥 땅이 아니라 자식같은 땅, 목숨이나 진배없는 땅이라는 것을 이해한다”며 진정한 대화와 타협으로 이 난제를 풀아나가겠다고 다짐했다. 그러나 기지 이전 사업의 당위성에 대해서는 △수도 서울 복판에 120여 년간이나 외국군대가 주둔해 온 역사를 청산하는 우리 정부의 자주적 요구라는 점 △전국 5,200여 만 평의 미군기지 땅을 돌려받는 대신 360여 만 평을 제공한다는 점 △1988년부터 우리 정부가 요구해 추진했으며 2003년 한·미 정상 간 합의와 국회 비준동의를 거쳤다는 점 등을 강조했다. 한 총리는 “우리나라는 국가안보와 국방, 경제발전, 그 어느 면에서도 미국과의 동맹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며 “한·미 동맹을 공고히 유지하는 것은 국가의 안정과 발전을 위해 필수적인 일”이라고 설명했다. 한 총리는 이어 “정부 당국도 더욱 열린 자세로 성의를 다해 주민들과 함께 해결 방법을 찾겠다”며 “국민 모두가 대화와 평화의 길로 나서주기를 간절히 호소한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