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나 보지 못한 국민의 치안만족도는 기존 이미지에 의존
경찰청이 지난 5월 국민들에게 직접 배부한 홍보물에 첨부된 설문조사지 회신(약 3만명)을 분석한 결과 최근 1년 이내에 경찰관을 만난」국민의 58.0%가 경찰의 치안서비스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반면, 그렇지 않은 국민은 30.7%만 만족한다고 응답, 접촉 국민의 치안만족도가 두 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과 야간에 길거리를 걸을 때의 위험성에 대해서는 접촉한 국민이 매우 높은 심리적 안정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수사공정성의 경우에는 경험하지 않은 국민(23.5%)에 비하여 경험한 국민(38.4%)의 만족도가 15% 높았다.
집회대응방식도 집회에 참가해 본 국민이 그렇지 않는 국민 23.0%에 비해 36.4%가 만족하였다.연령별로는 10대 20대가 치안서비스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한 반면, 고연령 층으로 갈수록 관대하여 긍정적이었다.치안서비스의 만족도는 각 분야의 성패가 경찰전체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주었다.
경찰청은 분석결과를 국민중심 경찰활동에 환류하기 위해 향후 순찰차량에 의존한 기계적인 순찰보다는 거점을 중심으로 주민들과 접촉하는 기회를 늘리고, 수사 등 모든 경찰활동에서 조금 더 듣고 조금 더 설명하는 시간을 늘리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그리고 기존의 관행과 단절된 20대 이하 예비 주민을 상대로 소셜네트워크(SNS) 등을 통한 접촉.소통을 늘려나갈 계획이다.치안만족도는 경찰행정 전반에 관련되어 있으므로 국민중심 경찰활동이 모든 분야에 확산되도록 개혁을 지속할 것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