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환자 5년간 15% 증가…물 자주 마셔 성대 건조 막아야
성대결절 환자가 최근 5년간 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성대결절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12만 3000명에서 14만 1000명으로 15% 늘었다고 3일 밝혔다.
특히 여성 진료환자가 전체 진료환자 3명 중 2명으로 남성보다 높았다.연령별로는 2010년 기준 남성은 50대(1만 118명) > 40대(9198명) > 30대(7268명) 순(順)으로 많았으며, 여성은 30대(2만 778명) > 40대(1만 8969명) > 50대(1만7290명) 순(順)으로 집계됐다.
직역별로는 인구 10만명당 공무원 및 교직원 가입자가 36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직장가입자는 288명, 지역가입자는 284명으로 분석됐다.공무원 및 교직원 가입자들 중 남자인 경우 지역이나 직장 가입자들보다 28%정도 많았고, 여자인 경우 지역이나 직장 가입자들보다 36% 많았다.
이 가운데 교육직 가입자(피부양자 제외)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남자 525명, 여자 1535명으로 타 직역 성별 진료환자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성대결절은 지속적인 음성과용이나 무리한 발성으로 생긴다.
반복되는 진동으로 성대점막이 자극을 받게 되면 결국 섬유화가 발생해 결절이 점점 단단해진다.통 6~7세의 남자 어린이 혹은 30대 초반의 여성, 가수, 교사 등 지속적인 음성사용이 많은 직업군에서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신향애 교수는 “성대결절의 경우 음성치료로 80%이상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으며, 초기 성대결절은 음성휴식과 음성치료로도 호전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또 성대점막의 손상 방지를 위해 물을 자주 마셔 성대가 건조해지지 않게 해주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신 교수는 “지나치게 장시간 말하거나 노래하는 것을 피하며, 목에 힘을 주지 않고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말하는 습관을 가져야한다”고 덧붙였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