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8월에 환자발생 가장 많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두드러기(L50)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환자는 2005년 173만 4천명에서 2010년 217만 1천명으로 나타나 최근 5년간 연평균 4.6% 증가하였으며,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도 2005년 3,659명에서 2010년 4,440명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전했다.
성별 진료환자는 2010년 기준으로 인구 10만명당 3,888명, 여자 5,001명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약간 많았으며, 9세 이하는 남자 진료환자가 많은 반면, 10대~50대에서는 여자 진료환자가 많았다. 특히, 인구 10만명당 ‘두드러기(L50)질환’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20~30대에서 여자가 남자의 2배 가까이 많게 나타났다.
‘두드러기(L50)’의 월별 진료환자(실인원) 발생은 매년 5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8월에 고점을 보이고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두드러기(L50)’로 의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5년 687억 원에서 2010년 1,041억 원으로 나타나, 2010년 두드러기질환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5년보다 1.5배 증가하였다. 또한, 공단이 부담한 급여비는 2005년 473억 원에서 2010년 713억 원으로 증가하였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 조남준 교수는‘매년 7, 8월에 두드러기 환자가 증가하는 현상에 대해서는 명확한 이유를 설명하기 어렵다’고 하며 ‘다만, 열에 의해 발생 가능한 열 두드러기 등 일부 두드러기는 무더위가 이어지며 야외활동이 많아지고 땀을 많이 흘리게 되는 8월이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다.
치료법과 관리법에 대해 ‘두드러기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원인을 찾아내어 제거하거나 피하는 것이지만 원인을 밝히기가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은 대증 치료를 한다’며,‘음식물 같은 경우에는 의심이 되는 음식을 금하거나 수 주 뒤에 의심이 되는 음식을 하나씩 추가해서 원인을 찾아가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나 우리나라에서는 음식물에 의한 두드러기가 실제보다 과도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 필요 이상으로 음식물을 금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할 필요가 있으며’‘특히 만성 두드러기에서는 아스피린이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사용을 금하고, 더운 목욕, 과도한 운동, 양모 담요, 술 등 가려움을 유발 할 수 있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