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도시교통본부)는 6월1일(수)~7월31(일)까지 2달 동안 25개 자치구와 함께 서울 시내에 있는 모든 주차장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실시되는 ‘2011년도 주차장 수급실태조사’는 2004년 7월 1일 ‘주차장법’이 개정되면서 구별로 정기적으로 주차장 설치 및 관리를 위한 실태조사가 의무화됨에 따라 2007년 첫 실시된 이후 두 번째로 실시되는 전수조사다.
주차장 실태조사는 조사구역별 주차시설현황과 주차수요를 조사하여 주차장 부족여부 및 불법주차율 등을 파악, 향후 주차장 확충계획과 주차정책수립 시 활용하기 위해 크게 ‘주차시설현황조사’와 ‘주차이용실태조사’로 구분해 진행된다.
먼저 주차시설현황조사는 노상.외, 건축물 부설주차장의 소재지, 주차장 규모, 주차요금, 시간대별 주차대수, 운영 및 관리실태 등 주차장별 현황을 중심으로 조사하며 주차이용실태조사에서는 구역별 불법주차율을 조사하여 주차수요와 주차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주간과 야간 2회에 걸쳐 도로상에 주?정차 되어 있는 모든 차량의 주.정차 위치, 차종, 적?불법 여부, 차량번호판 등을 조사한다.
서울시는 2007년 자치구에서 시행한 전수조사 자료를 DB화하여 2008년 ‘GIS기반의 주차관리시스템’을 구축했으며 2009년에는 시스템 안정화를 위해 자치구별로 보완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특히 올해는 25개 자치구가 조사를 신속하게 수행하고, 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존에 구축한 주차관리시스템 자료를 활용해 개발한 ‘조사용 Open API’를 제공, 조사원들이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올해 주차실태조사는 서울시 전역을 총 2,386개 구역(2007년 조사구역)으로 구분해 구청별로 100여명의 조사원이 총 2회에 거쳐 투입, 건물 주차장 및 가구를 직접 방문해 각 주차장에 대한 운영.관리, 도로 주차실태를 확인 및 면접 조사한다.
서울시는 조사 기간 2달 동안 조사원들이 차량번호판을 조사하는 것은 불법 주.정차 단속 목적이 아니라 차량 등록지역을 확인하는 조사 과정이므로 시민들이 조사원을 주차 단속원으로 오해하는 일이 없기를 당부했다.
서울시와 자치구는 이번 주차실태 조사 결과를 이용해 지역별 주차문제를 심층 분석하고, 각종 주차정책 수립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해 앞으로 시민들에게 더욱 편리하고 합리적인 주차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주차실태조사로 수집한 주차장 관련 공공DB의 공개범위와 보안성, 신뢰성 등을 검토한 후 일반 시민들에게도 공개하여 시민과 민간 기업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실용적인 앱(APP)을 개발.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할 계획이다.
서울시 도시교통본부 강홍기 주차계획과장은 “시민들에게 보다 편리한 주차공간과 다양한 주차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울시내 주차장에 대한 정확한 실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정확한 조사를 위해 조사원의 현장방문 및 조사에 시민 여러분의 많은 이해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