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주 지역에 따라 자동차 보험료에 차등을 두는 방안이 다시 추진되고 있다. 보험료 지역 차등제는 교통사고가 많은 지역에서는 자동차 보험료를 더 내게 하는 제도이다. 이 제도를 도입하면 지역마다 사고를 줄이려고 애쓰게 돼 결국 전체적으로 보험료를 낮출 수 있다고 보험사들은 주장한다. 정부는 이런 주장을 받아들여 보험료 지역 차등제를 교통사고 감소 대책의 하나로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별 차등제는 지난 2003년에도 여론의 반발에 밀려 무산됐던만큼 이번에도 논란은 거셀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사고율이 높은 자치단체들은 열악한 도로 여건이 사고의 주된 이유라며 이는 중앙정부가 해결할 일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소비자들도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것이라지만 반발하고 있다.정부는 자치단체들과의 협의 등을 거쳐 내년 12월까지 보험료 차등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