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원자력안전연구원(KINS)은 전국 21개 가동중인 원전에 대해 일본 대지진 및 해일과 같은 최악의 상황까지 대비할 수 있도록 비상디젤발전기·최신형 수소제거기 등 관련 설비를 보강키로 했다.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5월6일 오전 브리핑을 통해 지난 3월23일부터 4월말까지 전국 21개 원전과 연구용 원자로 등에 실시된 안전점검 결과와 이와는 별도로 실시된 고리 1호기 정밀안전점검 결과를 이 같이 밝혔다.
이 장관은 “이번 안전점검에서는 대형 자연재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최악의 원전사고 시나리오를 가정해 지진·해일, 전력·냉각계통, 중대사고 등 6개 분야 총 27개 항목을 점검했다”며 “현재까지 조사·연구를 통해 예측된 최대 지진과 해일에 대해서는 국내 원전이 안전하게 설계·운영되고 있음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그러나 “일본 원전사고를 계기로 최악의 자연재해가 발생하더라도 원전이 안전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총 50개의 장단기 안전 개선대책을 발굴했다”면서 “이번 안전개선 대책은 향후 5년간 약 1조원 규모의 재원을 투입해 단계적으로 반영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책안에 따르면, 우선 해일에 대한 안전 여유고가 상대적으로 낮은 고리 원전의 경우 내년 상반기까지 해안방벽 높이를 현재의 1.7m에서 4.2m로높여 다른 원전의 부지높이 수준(10m)으로 증축키로 했다.
또 모든 원전에 대해 원전부지가 완전 침수되는 상황에서도 원전에 비상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비상디젤발전기 시설 등에 방수문과 방수형 배수펌프 등 방수시설을 추가 설치키로 했다.
방수시설에도 불구, 비상발전지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까지 가정해 이동형 비상발전기(차량 장착)도 원전부지별로 1대씩 새로 확보키로 했다. 이들 조치는 2014년까지 완료된다.
아울러 최악의 경우 원자로내 핵연료가 손상돼 대규모 수소가 발생하더라도, 일본 원전처럼 수소폭발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원이 필요없는 최신형 수소제거설비를 2013년까지 모든 원전에 설치토록 할 계획이다.
또한 중대사고시 격납건물내 과도한 압력상승 예방을 위한 배기 또는 감압설비도 2015년까지 모든 원전에 설치하기로 했다.
이밖에 전국의 환경방사능 감시를 위해 지난 4월1일 독도에 무인방사선감시기를 설치한 것을 시작으로 기존 71개 전국 환경방사능측정소를 120개까지 확대해 나가고 방사선방호약품 등도 추가로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