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3월말까지 전국에서 화재발생율이 가장 높은 시.도는 제주특별자치도이며, 가장 낮은 시.도는 서울시로 나타났으며, 인구 1만명당 인명피해가 가장 많은 지역은 충청남도이며, 가장 적은 곳은 서울특별시 및 대전광역시로 조사됐다.
소방방재청은 금년도 1/4분기 화재발생현황을 분석한 결과 화재는 과거 3년 평균 대비 6.5% 증가한 14,589건이 발생했고, 재산피해는 78,760백만원으로 0.5%으로 증가했으나, 이로 인한 인명피해는 556명으로 22.1%감소했다고 밝혔다.
전년도 1분기 대비 화재발생현황 분석 결과 장소별 화재현황을 분석한바 임야화재가 125.2%(909건), 위험물.가스제조소 등 42.9%(3건), 비주거 16.1%(701건), 주거 15.3%(448건) 등 전체적으로 29.2%(3.296건) 증가하였고,발화요인별 화재현황은 부주의 56.4%(2,771건), 화학적요인 50%(25건), 기타실화 30.5%(67건), 기계적요인 14.9% (161건), 자연적요인 12.5%(1건), 가스누출 1.8%(1건) 순으로 증가했다.
인명피해(556명)를 분석한 바 교통사고 -53.8%(7명), 기계적요인 -26.3%(5명), 가스누출 -24.1%(7명), 미상 -16.2%(23명), 기타실화 -15%(3명) 순으로 전년도 1분기 대비 -4.1%(24명) 감소했다.
’11년 1/4분기 화재발생(14,589)현황 분석 결과 1/4분기 중 하루평균 162.1건의 화재가 발생하였고, 6.2명의 인명피해가 있었으며, 875백만원의 재산피해가 매일 발생하고 있다.
건축물중 주거용 건물에서 3,381건의 화재가 발생하여 61명이 사망하였고, 비주거용 건물에서 5,066건의 화재가 발생하여 18명이 사망하여 주거용이 비주거용보다 화재로 인한 사망률이 5배나 높았다.
지역별로 보면 전년도 같은 기간 대비 전국에서 화재발생율이 가장 높은 시.도는 제주특별자치도이며, 가장 낮은 시.도는 서울시로 나타났으며, 인구 1만명당 인명피해가 가장 많은 지역은 충청남도이며, 가장 적은 곳은 서울특별시 및 대전광역시로 나타났다.
소방방재청은 ’11년 2/4분기 화재전망과 관련하여 지난 1년간 “화재와의 전쟁” 작전수행 후, 화재로 인한 사망자는 131명 감소하여, 계획 대비 20% 더 큰 성과를 거둔바 있으나, 여전히 전국에서 산발적인 산불이 발생하고 있고, 산불발생원인이 주로 논.밭두렁 태우기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불법 소각행위에 대한 집중 단속과 대국민 홍보 등 봄철 산불방지에 적극노력하길 시.도에 당부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