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3일 오전 취임 이후 처음으로 제주도 4·3평화공원에서 열린 제58주년 ‘제주4·3사건 희생자 위령제’에 참석해 제주도민과 4·3사건 희생자에 대해 다시 한번 사과했다. 노 대통령은 “무력충돌과 진압의 과정에서 국가권력이 불법하게 행사되었던 잘못에 대해 제주도민 여러분께 다시 한번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2003년 10월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제주4·3사태에 대해 정부 차원의 공식 사과를 표명한 바 있다. 국가원수가 4·3사건 희생자 위령제에 직접 참석한 것은 노 대통령이 처음이다. 이날 행사에는 4·3사건 유가족 등 제주도민 1만여 명이 참석했다. 노 대통령은 이날 추도사를 통해 “우리는 오늘, 58년 전 분단과 냉전이 불러온 불행한 역사 속에서 무고하게 희생당한 분들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이 자리에 함께 했다”며 “깊은 애도의 마음으로 4·3 영령들을 추모하며 삼가 명복을 빈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과거사 청산과 관련, “아직도 과거사 정리 작업이 미래로 나아가는 데 걸림돌이 된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는 것 같다”고 아쉬움을 나타내며“과거사가 제대로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에 갈등의 걸림돌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과거사 청산이) 누구를 벌하고, 무엇을 빼앗자는 것이 아니다”며 “다시는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다짐하자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래야 진정한 용서와 화해를 통해 통합의 길로 나아갈 수 있다”며 “지난날의 역사를 하나하나 매듭지어갈 때, 그 매듭은 미래를 향해 내딛는 디딤돌이 될 것”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노 대통령은 특히 지난해 ‘평화의 섬’으로 지정된 제주도의 역사적·지정학적 의의를 강조하고 “제주도는 대한민국의 보배”라며 “이 평화의 섬을 통해 한국과 동북아의 평화, 나아가 세계의 평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앞서 제주도4.3사건희생자유족회(회장 김두연)는 지난 2월 8일 제58주년 4·3범도민 위령제에 노무현 대통령을 공식 초청키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4·3사건희생자유족회는 당시 ‘대통령에게 드리는 건의문’을 통해 “4·3사건 희생자 유족들은 대통령이 4·3유족에게 사과하고 ‘무고하게 희생된 영령들을 추모하며, 삼가 명복을 빈다’고 말한 그 날을 잊을 수 없다”며 “대통령의 사과는 50여년 동안 고통과 눈물의 세월을 보냈던 유족의 한을 풀어줬다”고 감사의 뜻을 전했다. 정부는 지난 2003년 제주 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를 발간해 당시 민간인들이 공권력에 의해 희생됐음을 선언하고 사과함으로써 제주도의 평화 분위기 확산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