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 당시 이 땅의 자유수호를 위해 싸우다 산화한 선배들의 유해를 찾기 위해 한·미 장병들이 함께 나섰다.
13일(수)부터 경북 칠곡의 작오산, 유학산 일대에서 실시되고 있는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과 육군 50사단 장병들의 전사자 유해발굴 현장에 백안의 미군들이 동참하여 굳건한 한.미동맹의 의미를 함께 나누고 있다.
이들은 왜관에 있는 미 501여단 소속 장병들로 20여명 모두가 스스로 자원하여 참여한 것으로, 한국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 장병들이 한국군의 전사자 유해발굴에 동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곳은 6.25전쟁 당시 미 1기병사단과 국군 1사단이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파죽지세와도 같은 북한군 1, 3, 13사단 등과 맞서 고지의 주인이 하루에도 몇 번씩 바뀌고 피.아 1만여 명의 전사자가 발생할 정도로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진 곳이다.
유해발굴에 참가한 한?미 장병들은 '50년 8월 작오산 전투에서 북한군이 미군포로 46명을 전화줄로 묶어 놓은채 집단 총살했다는 발굴통제 장교의 설명에 숙연해 했으며, 간간히 나오는 당시 M1 소총 탄피를 들고 선배들의 치열했던 전투상황에 대해 대화하는 등 시종 진지하게 발굴에 임했다.
한국에 10년째 근무하고 있으면서 이번 발굴에 미군 선임자로 참가한 부대대장 리스 소령(40세, 유타주 출신)은 “60년 전 이곳에서 자유수호를 위해 숨져간 수많은 한.미 장병들의 고귀한 희생의 의미를 직접 느낄 수 있는 매우 소중한 기회였으며, 내년에는 더 많은 부대원들이 참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면서, “한국전쟁 당시 조종사로 참전한 외할아버지에게 이 소식을 전하고 싶다.”고 했다.
이와 병행하여 강원도 양구에서도 지난 4월 11일부터 6월말까지 미 JPAC소속 발굴팀과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이 육군 2사단 장병 지원하에 '51년 추락한 F-4U(일명 콜세어) 전투기의 조종사 유해를 찾기 위한 한.미 합동발굴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 지난 3월 초 시작된 금년도 전사자 유해발굴이 현재 9개 지역에서 9백여명의 장병들이 참여하여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대학생들의 나라사랑 함양과 호국보훈의식 고취를 위한 유해발굴 참여 프로그램 일환으로 14일(목) 칠곡 유학산 발굴현장에 계명대 사학과 학생 40여명이 유해발굴 체험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