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12개 지방측정소에서 대기부유진 방사능을 측정한 결과, 방사성요오드(131I) 및 방사성세슘(137Cs, 134Cs)이 검출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측정결과는 지난 4월 6일 오전10시부터 4월 7일 오전10시까지 채집된 대기중 부유먼지를 4월 7일 오전10시부터 4월 8일 오전10시까지 측정한 것이다.
방사성요오드(131I)의 경우 0.580 ∼ 1.45mBq/m3정도였으며, 방사성세슘(137Cs, 134Cs)의 경우 각각 0.113 ∼ 1.25mBq/m3, 0.120 ∼ 1.19mBq/m3정도이었다. 이를 방사선량으로 환산하면, 방사성요오드의 경우 최대 0.000140mSv, 방사성세슘(137Cs, 134Cs)의 경우 각각 최대 0.000646mSv, 0.000313mSv로서 일반인의 선량한도(1mSv)와 비교해서 각각 1/7100, 1/1600, 1/3200 정도이다.
방사성요오드의 경우 전날에 비해 감소했으나, 방사성세슘의 경우 전날에 비해 다소 증가한 현상을 보여주고 있지만, 전 지구적으로 방사성물질이 확산된 상태에서 단정적인 해석이 어렵고 또한 기상 상황 및 지형조건에 따라 극미량 수준에서 당분간 오르내리는 현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강릉을 제외한 전국 11개지방 측정소에서 지난 4월 7일 새벽에 내린 빗물을 오전 10시에 동시에 채취하여 방사능을 분석한 결과, 방사성요오드(131I)의 경우 0.763 ∼ 2.81Bq/L정도였으며, 방사성세슘(137Cs, 134Cs)의 경우, 제주, 부산, 광주, 군산, 대전측정소를 제외한 측정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는 빗물과 같은 농도의 물을 하루 2L씩 1년간 마실 경우를 가정하여 방사선량으로 환산하면, 방사성요오드의 경우 0.0123 ∼ 0.0451mSv, 방사성세슘(137Cs, 134Cs)의 경우 각각 0.00284 ∼ 0.00928mSv, 0.00352 ∼ 0.0129mSv로서 일반인의 선량한도(1mSv)의 약 1/20∼1/350정도의 낮은 수치라고 괸계자는 전했다.
- TAG
-